●부도 浮屠(浮圖) (Buddha) 승려의 사리나 유골을 봉안한 묘탑. ●석탑 石塔 석재로 건립한 불탑(佛塔). 석조탑파(石造塔婆)를 줄여서 일컫는 말이다. 한국에는 목탑(木塔)·전탑(塼塔)·석탑·모전석탑(模塼石塔)·청동탑(靑銅塔)·금동탑(金銅塔) 등이 있으며, 이 가운데 1,300기가 넘는 대부분의 불탑이 석탑으로서, 한국 불탑의 중심을 이룬다. 이렇듯 석탑이 그 주류를 이루게 된 까닭은 질 좋은 화강암이 풍부한 자연적 조건과 일찍부터 돌을 다루는 기술이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인도나 중국을 '전탑의 나라', 일본을 '목탑의 나라'라고 한다면 한국은 '석탑의 나라'라고 할 수 있다. ●전탑 塼塔 검은 회색 또는 회색 벽돌로 쌓은 탑. 검은 회색 또는 회색 벽돌로 쌓은 탑. 중국에서 비롯된 것으로 숭악사(嵩嶽寺) 전탑, 자은사 대안탑(慈恩寺大雁塔), 천복사 소안탑(薦福寺小雁塔) 등이 가장 유명하다. 한국에 전래한 것으로는 경주시 분황사(芬皇寺) 탑이 대표적이며 처음에는 9층이었다고 하나 지금은 옛 모습을 볼 수 없다. 이 밖에 경상북도 안동시에 몇 곳 있으며 경기도 여주군 신륵사(神勒寺)에는 5층 전탑이 있으며 그 벽돌에는 꽃무늬가 새겨져 있다. ●동지 冬至 대설(大雪) 15일 후, 소한(小寒) 전까지의 절기로, 양력 12월 22일경이 절기의 시작일이다. 음력으로는 11월 중기(中氣)이다. 1년 중 제일 낮아 밤이 가장 긴 날이다. 반대로 남반구에서는 낮이 가장 길고 밤이 제일 짧은 하지가 된다. 이때를 기하여 태양이 하루하루 북으로 올라와 낮이 길어지기 때문에 옛날에는 동지를 중요한 축제일로 삼았으며, 특히 태양신을 숭배하던 페르시아의 미드라교에서는 12월 25일을 ‘태양탄생일’로 정하여 축하하였다. 이 미드라교의 동지제가 로마로 넘어가 크게 유행하였고, 4세기경부터 현재 기독교의 크리스마스로 대체된 것으로 보인다. 한국에서도 동지를 ‘다음해가 되는 날(亞歲)’, 또는 ‘작은 설’이라 해서 크게 축하하는 풍속이 있었다. 궁중에서는 이 날을 원단(元旦)과 함께 으뜸되는 축일로 여겨 군신과 왕세자가 모여 ‘회례연(會禮宴)’을 베풀었으며, 해마다 중국에 예물을 갖추어 동지사(冬至使)를 파견하였다. 또 지방에 있는 관원들은 국왕에게 전문(箋文)을 올려 진하(陳賀)하였다. 민가에서는 붉은 팥으로 죽을 쑤는데 죽 속에 찹쌀로 새알심을 만들어 넣는다. 이 새알심은 맛을 좋게 하기 위해 꿀에 재기도 하고, 시절 음식으로 삼아 제사에 쓰기도 한다. 팥죽 국물은 역귀(疫鬼)를 쫓는다 하여 벽이나 문짝에 뿌리기도 한다. 한편, 궁중에서는 관상감에서 만들어 올린 달력을 ‘동문지보(同文之寶)’란 어새(御璽)를 찍어서 모든 관원들에게 나누어 주는데, 이 달력은 황장력(黃粧曆) ·청장력 ·백력 등의 구분이 있었고, 관원들은 이를 다시 친지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러한 풍속은 여름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하였다. 또한, 내의원(內醫院)에서는 전약(煎藥)이라 하여 쇠가죽을 진하게 고아 관계(官桂) ·생강 ·정향(丁香) ·후추 ·꿀 등을 섞어 기름에 엉기게 하여 굳힌 후 임금에게 진상하여 별미로 들게 하였다. 그 밖에 고려 ·조선 초기의 동짓날에는 어려운 백성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 동지가 동짓달 초 열흘 전에 들면'애기동지'라고 하여 아기가 있는 집에서는 팥죽을 쑤지 않았다. ●두레 농촌에서 서로 협력하여 공동 작업을 하는 풍습, 또는 이를 위하여 부락이나 이(里) 단위로 구성한 조직. ●동래학춤 부산 동래에 전승하는 민속무용. 동래는 예로부터 황새가 많아 주민들이 황새의 모습을 관찰하여 학의 청초함과 우아한 몸짓 등을 소박한 민속의 율동에 담은 춤이다. 민속무용 중 조류(鳥類)의 동태가 율동화된 유일한 춤으로, 궁중무용 중 학무(鶴舞)에 비해 민속적 특징이 두드러진다. 꽹과리 ·징 ·장구 ·북 등 타악기가 중심이 되고, 굿거리장단으로 반주한다. ●대웅전 大雄殿 불교의 선종 계통 사찰에서 석가모니불을 본존불로 모시는 당우(堂宇). 대웅보전이라고도 한다. 항상 가람의 중심이 되는 전당으로, 큰 힘이 있어서 도력(道力)과 법력(法力)으로 세상을 밝히는 영웅을 모신 전각이라는 뜻이다. ‘대웅(大雄)’은 고대 인도의 ‘마하비라’를 한역한 말로, 법화경에서 석가모니를 위대한 영웅, 즉 대웅이라 일컬은 데서 유래하였다. 대웅전에는 중심에 불상을 안치하는 수미단(須彌壇)과 신중(神衆)을 모시는 신중단, 그리고 영가(靈駕)를 모시는 영단을 두고 각 단마다 탱화를 모신다. 또 촛대와 향로 등의 불구(佛具)를 마련해둔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에는 좌우에 협시불(脇侍佛)을 세우는데,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세우기도 하고,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세우기도 한다. 이 중 후자의 경우에는 격을 높여 대웅보전이라 한다. 협시불로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세우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형태이다.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문수보살은 부처의 왼쪽에 여의주나 칼·청련화(靑蓮花)를 들고 있거나 청사자를 탄 모습으로 표현된다. 또 부처의 덕(德)을 상징하는 보현보살은 부처의 오른쪽에 연꽃을 들고 코끼리를 탄 모습으로 표현된다. 문수·보현보살 대신 부처의 자비를 상징하는 미륵·관음보살이나 지장·관음보살을 세우기도 한다. 한편 아미타불과 약사여래를 협시불로 세울 때는 각 여래상 좌우에 다시 협시보살을 두기도 한다. 대웅전에는 또 삼세불(三世佛)이나 삼신불(三身佛)을 모시는 경우도 있다. 삼세를 통하여 불법으로 교화하는 삼세불로는 현세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과거불인 연등불(燃燈佛) 또는 가라보살(迦羅菩薩), 그리고 미래불인 미륵보살이 좌우에서 협시하며, 각 협시불 좌우에 석가의 10대 제자 중 가섭과 아난 존자를 협시로 세우기도 한다. 이 때 가섭은 선법을, 아난은 교법을 상징한다. 경상북도 포항의 보경사(寶鏡寺)와 부산 범어사대웅전(梵魚寺大雄殿:보물 434)에는 가라보살과 미륵보살이 석가여래를 협시하고 있다. 삼신불은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으로 구별하며, 일반적으로 법신은 비로자나불, 보신은 아미타불과 약사여래, 화신은 석가모니불을 가리킨다. 그러나 한국의 대웅전에는 선종의 삼신설에 따라 비로자나불·노사나불(盧舍那佛)·석가모니불을 모신다. 보은 법주사대웅전(法住寺大雄殿:보물 915)에는 삼신불이 모셔져 있다. 공주 마곡사대웅보전(麻谷寺大雄寶殿:보물 801)에는 극락왕생과 내세의 행복을 주도하는 아미타불과, 고통받는 환자와 가난한 사람을 구원하는 약사여래를 석가모니불과 같이 모셔져 있다. 한국의 대웅전 건물 중 대표적인 것으로 마곡사 대웅보전은 대광보전 뒤 언덕 위에 중층으로 세워졌으며, 법주사대웅전은 규모면에서 두드러지고, 안동 봉정사대웅전(보물 55)은 극락전과 병렬 배치되어 고풍스러운 멋을 낸다. 이밖에 불국사·통도사·쌍계사·관룡사 등의 대웅전이 유명하다. |
번역사학원,번역자격증시험,번역학원추천,번역가,번역사,번역학원,일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번역전문학원,번역사자격증,번역통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중국어번역학원,번역자격증,번역가시험,일본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번역사자격증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시험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일본어번역사/중국어번역사/일어번역사/영어번역사/번역사학원/중어번역사/번역사자격증/번역사시험/번역사자격증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어번역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일본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학원,영어전문학원/번역사영어학원/영어번역/영어번역가시험/영어번역가자격증/영어번역가전문학원/영어번역가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사자격증학원/영어번역사전문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일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일본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학원/중국어전문학원/중국어번역가자격증/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중국어번역가전문학원/가이드/가이드학원/가이드전문학원/관광가이드/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가이드학원/가이드자격증/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학원/여행가이드/통역학원/통역시험/통역자격증/통역어학원/통역사학원/통역번역학원/영어통역/영어통역학원/영어통역사/영어통역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관광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시험/영어가이드/영어관광학원/영어가이드학원/영어관광통역학원/일어가이드/일어관광가이드/일어관광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일어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관광학원/일어관광학원/일본어통역사/일본어가이드/일본어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가이드/일본어관광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가이드/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관광가이드/중국어관광통역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관광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사/관광통역안내원/관광통역안내원시험/관광통역학원/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시험/관광통역안내사학원/관광통역안내원학원/관광통역자격증/관광통역안내사자격증/관광통역안내원자격증/통번역학원/통역학원추천/통역가이드/통역가이드학원/현대번역통역어학원/현대번역통역학원/현대번역통역어학원안내/현대번역통역어학원약도/현대번역통역어학원추천/현대번역통역어학원위치/번역사/번역가/번역사학원/번역사시험/번역사자격증/번역가시험/번역가학원/번역가자격증/번역자격증시험/번역자격증학원/번역학원추천/번역전문학원/번역학원/번역통역학원/번역자격증/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자격증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시험/일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자격증/일어번역자격증/일어번역시험/일본어번역시험/일본어번역사/일본어번역가/일어번역사/일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일본어번역가자격증/일본어번역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중국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자격증/중국어번역시험/중국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가자격증/중국어번역사자격증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
관광통역학원,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학원,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안내사,통역학원추천,통역가이드,통역가이드학원,관광통역자격증,여행가이드,외국어학원,통역학원,통역시험,통역자격증,통역어학원,통역사학원,통역번역학원,관광통역사/관광통역사학원/통역학원/관광통역학원/통역전문학원/관광통역전문학원/영어통역학원/일어통역학원/일본어통역학원/중국어통역학원/관광통역사/관광통역사학원/통역학원/관광통역,영어가이드학원,영어통역학원,통번역학원,통역학원추천,영어통역,영어가이드,영어관광학원,영어통역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관광통역학원,일본어가이드,일어가이드,일어관광가이드,일어관광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일어통역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관광학원,여행가이드,일본어관광가이드,일본어관광통역학원,일본어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가이드,일본어통역가이드학원,일본어관광통역가이드학원가이드/로컬가이드/로컬가이드자격증/로컬가이드시험/일본현지가이드/일본관광가이드/가이드학원/관광가이드/일본어관광가이드학원/일본로컬가이드시험/일본로컬가이드자격증시험/일본로컬가이드/영어학원/영어전문학원/영어회화/영어회화학원/영어통역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일본어학원/일본어전문학원/일본어회화/일본어회화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관광가이드/일본어통역가이드,중국어가이드,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관광통역학원,여행가이드,외국어학원,중국어관광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사,중국어관광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자격증,중국어통역,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가이드,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가이드,중국어통역사,통역가이드,가이드중
'관광통역안내사시험 > 통역사면접 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영어가이드 면접 기출문제/해설 [5] (0) | 2007.04.03 |
---|---|
[스크랩] 영어가이드 면접 기출문제/해설 [4] (0) | 2007.04.03 |
[스크랩] 영어가이드 면접 기출문제/해설 [2] (0) | 2007.04.03 |
[스크랩] 영어가이드 면접 기출문제/해설 [1] (0) | 2007.04.03 |
[스크랩] 2005년도 영어가이드 2차 인터뷰/면접 기출문제 (0) | 2007.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