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통역안내사시험/통역사면접 영어

[스크랩] 영어가이드 면접 기출문제/해설 [5]

현대천사 2007. 4. 3. 11:41
●토총 土塚
돌 또는 흙으로 만든 무덤칸을 봉토(封土)로 덮은 무덤.
일반적으로 고분(古墳)은 크게 돌무덤[石塚]과 토총(土塚)의 둘로 갈라지며, 토총은 다시 내부 시설에 따라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움무덤 ·독무덤 등으로 구분된다. 토총이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흙으로 만든 무덤을 말하는 것으로 무덤의 발생적인 측면에서 원초적 분묘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고분은 토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설문해자(說文解字)》에 ‘총(塚)이라는 것은 고분(高墳)’으로서 봉토(封土)하여 구릉을 이룬 것을 가리킨다고 하였으므로, 토총은 기본적으로 ‘흙으로 봉토를 한 무덤’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용어로 봉토무덤[封土墳]이라고 할 수 있다.

●세시풍속 歲時風俗
예로부터 해마다 관례(慣例)로서 행하여지는 전승적 행사.
집단적 또는 공통적으로 집집마다 촌락마다 또는 민족적으로 관행(慣行)되는 것이 상례이다.
오늘날 행하여지고 있는 세시풍속은 예로부터 정해진 것은 아니며, 또 옛 문헌에 보이는 것 중에는 이름만 남아 있고, 현재 일반적으로 행하지 않는 것도 많이 있다. 한(韓)민족에 의하여 발생되고 전승되어 오는 고유(固有)의 것도 많이 있지만 외국과의 문화 교류를 통하여 전래된 것도 있고, 또 이 외래의 것도 시대의 변천에 따라 한(韓)민족의 색채가 가미되어 있는 것도 많다.

① 정월 행사:정월 초하룻날은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로서, 이날을 '설날'이라 하여 연시제(年始祭)를 지내며, 웃어른께 세배를 드린다. 그리고 세배하러 온 손님에게는 술·고기·떡국을 대접한다. 초하루~초사흗날까지 관공서는 공사(公事)를 보지 않고, 각 상점도 문을 닫는다. 설날에는 일가 친척 및 친지를 만나면 '덕담(德談)'이라 하여 서로 새해를 축하하는 인사를 하며, 설날의 놀이로서 남녀가 모이면 다 같이 '윷놀이'를 하고, 젊은 부녀자들은 '널뛰기'를, 남자들은 '연날리기'를 한다. 또 각 가정에서는 설날 이른 아침에 '조리'를 사서 벽에 걸어 두는데 이를 '복조리'라 하며, 그해의 신수를 보기 위하여 '토정비결(土亭秘訣)'을 보기도 한다.
또 농가에서는 '나무시집보내기'라 하여 과일나무 가지 사이에 돌을 끼우는데 이렇게 하면 과일이 많이 열린다고 한다. 첫쥐날[上子日]은 '쥐불'이라 하여 농촌의 밭이나 논두렁에 짚을 흩어 놓고 불을 놓아 잡초를 태워서 들판의 쥐와 논밭의 잡충을 제거하고, 입춘(立春)날에는 '입춘 써붙이기'라 하여 대문·난간·기둥에 봄을 축하하는 글귀를 써붙인다. 또 보름 전날 농가에서는 그 해의 오곡(五穀)이 풍성하여 거두어들인 노적(露積)이 높이 쌓이라는 뜻에서 '볏가릿대[禾竿]'를 세우며, 이날 밤에는 성명설상(星命說上) 액년(厄年)에 당하는 이는 양법(穰法)으로 제웅을 만들어 그 속에 약간의 돈과 함께 액년에 당하는 이의 성명, 생년월일시를 적어 넣어 길가나 다리 밑에 버린다.
자정(子正)이 지나 15일이 되면 각 마을에서는 마을 제단에서 동신제(洞神祭)를 지내고, 보름날 새벽에는 귀밝이술[耳明酒]이라 하여 술 한 잔씩을 마시며, '부럼[腫果] 깬다' 하여 날밤·호두·은행·잣 등 굳은 껍질의 과일을 깨물고 '약밥'을 해먹는다. 동네 안의 악기(惡氣)를 진압하여 연중 무사하기를 비는 뜻으로 '사자놀음' '지신(地神)밟기' '들놀음[野遊]' '매귀(埋鬼)놀음' 등을 하며, 풍년을 기원하는(祈豊) 놀이로서 '줄다리기' '횃불싸움' 등을 하며, 어촌에서는 그 해의 풍어(豊漁)를 비는 뜻에서 '풍어놀이'를 한다. 또 보름날 밤에는 동산에 올라가 달 떠오르는 것을 맞이하여 달빛을 보고 그 해의 풍흉(豊凶)을 점치며, 다리가 튼튼해지기를 바라는 뜻에서 '다리밟기'를 한다.

② 2월 행사:2월 초하룻날은 정월 보름 전날 세운 볏가릿대의 곡식을 풀어 솔떡을 해먹는다. 또 이 날은 1년 중 대청소하는 날로서 집 안팎을 깨끗하게 청소한다. 해안 지방에서는 초하루부터 20일까지 사이에 풍신제(風神祭)를 지내며 초엿샛날에는 좀생이와 달의 거리를 보아서 연중의 길흉(吉凶)을 점쳐보고, 상정일(上丁日)에는 유생들이 문묘(文廟)에서 석전제(釋奠祭)를 행한다.

③ 3월 행사:3월 3일은 '삼짇날'이라고 하여 '화전(花煎)놀이'를 많이 하며, 한식에는 선조의 무덤에 가서 성묘를 한다. 또 한량(閑良)들은 활터에 가서 활쏘기를 하고, 그믐께는 '전춘(餞春)'이라 하여 음식을 장만해 산골짜기나 강가에 가서 하루를 즐긴다.

④ 4월 행사:4월 초파일은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로 '부처님 오신 날'이라 하여 불교신자들은 절에 가는데, 이 날 절에서는 큰 재(齋)를 올리고 각 전각에 등불을 켠다. 이달에는 시식(時食)으로서 찐떡·어채(魚菜)·고기만두 등을 해먹는다.

⑤ 5월 행사:5월 5일은 단오(端午)라 한다. 옛날에는 '단오차례'라고 하여 차례를 지냈고, 또 부녀자들은 창포(菖蒲) 삶은 물에 머리와 얼굴을 씻고 창포뿌리를 깎아 비녀를 만들어 머리에 꽂고 그네뛰기를 하며, 남자들은 씨름을 즐겼다. 13일은 '대 심는 날'이라 하여, 이 날 대를 심으며, 이달에는 소녀들이 봉숭아꽃을 따서 손톱에 물을 들인다.

⑥ 6월 행사:6월 15일을 '유두(流頭)날'이라 하여, 음식을 장만해 산간 폭포에서 몸을 씻고 서늘하게 하루를 보낸다. 각 가정에서는 이날 유두면(流頭麵)·수단(水團)·건단(乾團)·상화(霜花)떡 등 여러 가지 음식을 해먹는다. 복중에는 '팥죽'을 쑤어 먹고, 고사리와 묵은 나물을 넣어 '개장'을 끓여 먹고, '계삼탕(鷄蔘湯)'도 먹는다. 허리 아픈 노인들은 해안지대 백사장에 가서 '모래뜸질'을 하고, 빈혈증이나 위장병이 있는 이들은 약수터에 가서 약수를 마신다.

⑦ 7월 행사:7월 7일은 햇볕에 옷을 내어 말리고, 저녁에는 '칠석(七夕)'이라 하여 처녀들은 견우(牽牛)·직녀(織女) 두 별을 보고 절하며 바느질이 늘기를 빈다. 15일은 '백중(百中)'이라 하여 절에서는 중들이 100가지 과일과 나물을 갖추어 부처에게 공양을 한다. 또 우란분회(盂蘭盆會)를 성대히 베푼다. 농민들은 이날을 '호미씻이'라 하여 음식을 장만해서 산기슭 들판에 나가 농악을 울리며 하루를 즐긴다.

⑧ 8월 행사:8월 상정일(上丁日)은 각 지방에서 유생들이 문묘에서 추기(秋期) 석전제를 지낸다. 15일은 '한가위' 또는 '추석(秋夕)'이라 하여 절사(節祀)를 지내고, 조상의 산소에 가서 성묘를 한다. 이 날은 송편·시루떡·토란단자·밤단자를 만들어 먹는다.

⑨ 9월 행사:9월 9일은 중양절(重陽節)이라 하여 각 가정에서는 철음식으로 '화채(花菜)'를 만들어 먹으며, '국화전(菊花煎)'도 부쳐 먹는다. 또 '풍국(楓菊)놀이'라 하여 음식을 장만해 교외 산야(山野)에 가서 하루를 즐긴다.

⑩ 10월 행사:10월은 '상달'이라 한다. 초사흗날은 개천절로 예로부터 모두 이 날을 기념하여 왔다. 정부에서는 공휴일로 정하는 동시에 국경일로서 엄숙히 의식(儀式)을 거행한다. 이달에는 '시제(時祭)'라 하여 먼 선조의 무덤에 모여서 제사를 지낸다. 그리고 겨울철의 부식물인 '김장'을 한다.

⑪ 11월의 행사:11월을 동짓달이라고 한다. 동짓날은 팥죽을 쑤어 먹는데, 시식(時食)을 삼아 고사(告祀)도 하고, 또 악기를 제거한다 하여 죽물을 대문간, 대문 판자에 뿌린다.

⑫ 12월 행사:12월을 섣달이라고 한다. 연말이 가까워지면 세찬(歲饌)이라 하여, 마른 생선, 육포(肉脯)·곶감·사과·배 등을 친척 또는 친지들 사이에 주고받는다. 그리고 그믐에는 연중 거래 관계를 청산하며, 각 가정에서는 새해 준비로 분주하다. 또 이날 밤에는 '해지킴[守歲]'이라 하여 집 안팎에 불을 밝히고, 남녀가 다 새벽이 될 때까지 자지 않고 밤을 새운다.

번역사학원,번역자격증시험,번역학원추천,번역가,번역사,번역학원,일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번역전문학원,번역사자격증,번역통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중국어번역학원,번역자격증,번역가시험,일본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번역사자격증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시험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일본어번역사/중국어번역사/일어번역사/영어번역사/번역사학원/중어번역사/번역사자격증/번역사시험/번역사자격증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어번역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일본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학원,영어전문학원/번역사영어학원/영어번역/영어번역가시험/영어번역가자격증/영어번역가전문학원/영어번역가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사자격증학원/영어번역사전문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일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일본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학원/중국어전문학원/중국어번역가자격증/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중국어번역가전문학원/가이드/가이드학원/가이드전문학원/관광가이드/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가이드학원/가이드자격증/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학원/여행가이드/통역학원/통역시험/통역자격증/통역어학원/통역사학원/통역번역학원/영어통역/영어통역학원/영어통역사/영어통역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관광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시험/영어가이드/영어관광학원/영어가이드학원/영어관광통역학원/일어가이드/일어관광가이드/일어관광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일어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관광학원/일어관광학원/일본어통역사/일본어가이드/일본어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가이드/일본어관광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가이드/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관광가이드/중국어관광통역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관광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사/관광통역안내원/관광통역안내원시험/관광통역학원/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시험/관광통역안내사학원/관광통역안내원학원/관광통역자격증/관광통역안내사자격증/관광통역안내원자격증/통번역학원/통역학원추천/통역가이드/통역가이드학원/현대번역통역어학원/현대번역통역학원/현대번역통역어학원안내/현대번역통역어학원약도/현대번역통역어학원추천/현대번역통역어학원위치/번역사/번역가/번역사학원/번역사시험/번역사자격증/번역가시험/번역가학원/번역가자격증/번역자격증시험/번역자격증학원/번역학원추천/번역전문학원/번역학원/번역통역학원/번역자격증/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자격증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시험/일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자격증/일어번역자격증/일어번역시험/일본어번역시험/일본어번역사/일본어번역가/일어번역사/일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일본어번역가자격증/일본어번역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중국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자격증/중국어번역시험/중국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가자격증/중국어번역사자격증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

관광통역학원,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학원,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안내사,통역학원추천,통역가이드,통역가이드학원,관광통역자격증,여행가이드,외국어학원,통역학원,통역시험,통역자격증,통역어학원,통역사학원,통역번역학원,관광통역사/관광통역사학원/통역학원/관광통역학원/통역전문학원/관광통역전문학원/영어통역학원/일어통역학원/일본어통역학원/중국어통역학원/관광통역사/관광통역사학원/통역학원/관광통역,영어가이드학원,영어통역학원,통번역학원,통역학원추천,영어통역,영어가이드,영어관광학원,영어통역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관광통역학원,일본어가이드,일어가이드,일어관광가이드,일어관광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일어통역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관광학원,여행가이드,일본어관광가이드,일본어관광통역학원,일본어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가이드,일본어통역가이드학원,일본어관광통역가이드학원가이드/로컬가이드/로컬가이드자격증/로컬가이드시험/일본현지가이드/일본관광가이드/가이드학원/관광가이드/일본어관광가이드학원/일본로컬가이드시험/일본로컬가이드자격증시험/일본로컬가이드/영어학원/영어전문학원/영어회화/영어회화학원/영어통역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일본어학원/일본어전문학원/일본어회화/일본어회화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관광가이드/일본어통역가이드,중국어가이드,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관광통역학원,여행가이드,외국어학원,중국어관광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사,중국어관광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자격증,중국어통역,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가이드,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가이드,중국어통역사,통역가이드,가이드중

출처 : 번역, 통역사 한 번 잡아 보자..
글쓴이 : 담덕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