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사/우리말공부

(번역사시험)한글 맞춤법 (소리에 관한것 제3절 'ㄷ'소리받침)

현대천사 2008. 6. 24. 15:01
'ㄷ' 소리로 나는 받침 중에서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은 'ㅅ'으로 적는다.
덧저고리 돗자리 엇셈 웃어른 핫옷 무릇 사뭇
얼핏 자칫하면 뭇(衆)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이란, 음절 끝소리로 발음될 때 [ㄷ]으로 실현되는 'ㅅ, ㅆ, ㅈ, ㅊ, ㅌ' 등을 말한다. 이 받침들은, 뒤에 형식 형태소의 모음이 결합될 경우에는 제 소리값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내리 이어져 발음되지만, 단어의 끝이나 자음 앞에서는----음절 말음으로 실현될 때는 모두 [ㄷ]으로 발음된다.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이란, 그 형태소가 'ㄷ' 받침을 가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걷-잡다(거두어 붙잡다), 곧-장(똑바로 곧게), 낟-가리(낟알이 붙은 곡식을 쌓은 더미), 돋-보다(←도두 보다)' 등은 본디 'ㄷ' 받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반짇-고리, 사흗-날, 숟-가락' 등은 'ㄹ' 받침이 'ㄷ'으로 바뀐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런 경우는 'ㄷ'으로 적을 근거가 있는 것이지만,
갓-스물 걸핏-하면 그-까짓 기껏 놋-그릇
덧-셈 빗장 삿대 숫-접다 자칫
짓-밟다 풋-고추 햇-곡식
따위는 'ㄷ'으로 적을 근거가 없는 것이다.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는다는 원칙을 적용하면 '덛저고리, 돋자리, 얻셈, …'처럼 적어야 할 것이지만, 고래의 관용 형식에 따라 'ㅅ'으로 적기로 한 것이다. 표기법은 보수성을 지닌 것이어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재래의 형식을 바꾸지 않는 게 통례로 되어 있다.

  한편, 사전에서 '밭-'형으로 다루고 있는 '밭사돈, 밭상제'를 '밧사돈, 밧상제'로 적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바깥'과의 연관성을 살리기 위하여 '밭-'형을 취하기로 하였다. '표준말 모음'(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에서는 '(바깥쪽→)밭쪽'이 '밧쪽'로 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밧'은 '바깥'의 뜻으로 인식되지 않으므로,
밭벽 밭부모 밭사돈 밭상제 밭어버이 밭쪽
처럼 적기로 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