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사/우리말공부

(번역사시험대비)한글 맞춤법 (소리에 관한것 제2절 구개음화)

현대천사 2008. 6. 24. 14:57
'ㄷ, ㅌ' 받침 뒤에 종속적 관계를 가진 '- 이(-)'나 '- 히 -'가 올 적에는, 그 'ㄷ, ㅌ'이 'ㅈ, ㅊ' 으로 소리나더라도 (1) 'ㄷ, ㅌ'으로 적는다.(ㄱ을 취하고, ㄴ을 버림.)
맏이 마지 핥이다 할치다
해돋이 해도지 걷히다 거치다
굳이 구지 닫히다 다치다
같이 가치 묻히다 무치다
끝이 끄치
'종속적(從屬的) 관계'란, 형태소 연결에 있어서 실질 형태소인 체언, 어근, 용언 어간 등에 형식 형태소인 조사, 접미사, 어미 등이 결합하는 관계를 말한다. 이 경우, 형식 형태소는 실질 형태소에 딸려 붙는(종속되는) 요소인 것이다.
실질 형태소의 끝 받침 'ㄷ, ㅌ'이 구개음화(口蓋音化)하여 [ㅈ, ㅊ]으로 발음되더라도, 그 기본 형태를 밝히어 'ㄷ, ㅌ'으로 적는다. 그런데 앞(제1항 해설)에서 말한 바와 같이, 형식 형태소의 경우는 변이 형태를 인정하여 소리 나는 대로 적지만, 실질 형태소의 경우는 그 본 모양을 밝히어 적는 것이 원칙이므로, [ㅈ, ㅊ]으로 소리 나더라도 'ㄷ, ㅌ'으로 적는 것이다.
곧이(-곧대로, -듣다) (미-, 여-)닫이 (해-)돋이  맏이
(휘-)묻이 (땀-, 물-, 씨-)받이 굳히다 닫히다
묻히다 낱낱이 (겨레-, 살-, 일가-, 피-)붙이 샅샅이
붙이다 벼훑이 핥이다 훑이다
따위처럼 'ㄷ, ㅌ, ㄾ' 받침 뒤에 조사나 접미사의 '-이, -히'가 결합되는 구조에도 적용된다.
한편, 명사 '맏이[마지](昆)'를 '마지'로 적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맏-아들, 맏-손자, 맏-형' 등을 통하여 '태어난 차례의 첫 번'이란 뜻을 나타내는 형태소가 '맏'임을 인정하게 되므로, '맏이'로 적기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