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다음 단어는 ㄱ을 원칙으로 하고, ㄴ도 허용한다. |
ㄱ | ㄴ | 비 고 |
네 | 예 | |
쇠- | 소- | -가죽, -고기, -기름, -머리, -뼈. |
괴다 | 고이다 | 물이 ~, 밑을 ~. |
꾀다 | 꼬이다 | 어린애를 ~, 벌레가 ~. |
쐬다 | 쏘이다 | |
죄다 | 조이다 | |
쬐다 | 쪼이다 |
앞에서 밝힌 대로 비슷한 발음을 가진 두 형태를, 그 발음 차이가 국어의 일반 음운 현상으로 설명되면서 두 형태가 다 널리 쓰이는 것들이라는 이유로 모두 표준어로 삼은 규정이다. 이번 표준어 규정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복수 표준어를 많이 허용하여 국어의 폭을 넓히려 한 것인데, 제18항에 해당되는 예는 많지 않지만, 이 항도 그러한 정신의 일단이 발로된 규정이라 할 만하다.
1. | 대답하는 말 '네/예'에서 지금까지는 '예'만을 표준어로 인정하였으나, 서울말에서는 오히려 '네'가 더 보편적으로 쓰여 왔고 또 쓰이고 있으므로, 그것을 앞에 내세워 '예'와 함께 쓰기로 한 것이다. |
2. | '쇠-/소-'에서 '쇠-'는 전통적 표현이나, '소-'도 우세해져 두 가지를 다 쓰게 한 것이다. |
![]() |
어감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어 또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ㄱ, ㄴ을 모두 표준어로 삼음.) |
ㄱ | ㄴ | 비 고 |
거슴츠레-하다 | 게슴츠레-하다 | |
고까 | 꼬까 | ~신, ~옷 |
고린-내 | 코린-내 | |
교기(驕氣) | 갸기 | 교만한 태도 |
구린-내 | 쿠린-내 | |
꺼림-하다 | 께름-하다 | |
나부랭이 | 너부렁이 |
어감(語感)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어 복수 표준어로 인정된 단어들이다. 어감의 차이가 있다는 것은 엄밀히 별개의 단어라고 할 수도 있으나, 워낙 기원을 같이하는 단어이면서 그 어감의 차이가 미미한 것이어서 복수 표준어로 처리한 것이다.
이 중 '나부랭이/너부렁이'에서 '너부렁이'를 '나부랭이'에 견주어 '너부렝이'로 처리하지 않은 것은 언어 현실이 아직 거기까지 이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번역사 > 우리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T자격증시험)표준어규정(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0) | 2008.07.05 |
---|---|
(TCT자격증)표준어규정(표준 발음법 제1장 총칙) (0) | 2008.07.05 |
(번역가)표준어규정(제3장 어휘선택의 변화에 따른 규정 제4절 단수 표 (0) | 2008.07.04 |
(번역가시험)표준어규정(제3장 어휘선택의 변화에 따른 규정 제3절 방언) (0) | 2008.07.04 |
(번역가시험대비)표준어규정(제3장 어휘선택의 변화에 따른 규정 제2절 한 (0) | 200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