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소식

[영어관광통역안내사자격증] <상> 끝없는 추락 중 규제를 풀어라

현대천사 2008. 6. 27. 14:46

[영어관광통역안내사자격증] <상> 끝없는 추락 중 규제를 풀어라신문사부산일보 4천만 오는데 튜브 탄 피서객만 …

 
'부산은 바다만 있고 해양레포츠는 없다?'
국내 최고의 해양 도시인 부산이 해양레포츠의 불모지라는 오명을 받고 있다.
부산은 지난해 해운대와 광안리 등 부산지역 6개 해수욕장을 찾은 방문객이 연 인원 4천만명을 넘어설 정도로 해양 도시로서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실상을 들여다보면 부산 바닷가에는 피서객만 붐빌 뿐 해양 도시라면 당연히 있을 법한 요트와 윈드서핑, 조정, 시카약,
카누, 래프팅, 파도타기, 스쿠버다이빙 등 다양한 해양레포츠를 즐기는 사람은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23일 오후 부산의 대표적인 해양 관광지인 해운대와 광안리 해수욕장. 때 이른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바다로 뛰어드는 성급한 피서객들은 잇따랐지만 정작 윈드서핑 등 해양레포츠를 즐기는 모습은 눈에 띄지 않았다.
광안대교에 올라가 가까운 바다를 둘러봐도 돛을 올린 요트를 찾는 것은 쉽지 않았다.
부산지역 한 해양레포츠 관계자는 "이 같은 현상은 1년 내내 계속되고 있다"며 "전국적으로 해양레저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나 부산 바닷가에서는 해양레포츠 자체가 사실상 실종된 거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광안리해수욕장의 경우 지난 1990년대까지 100여곳의 해양레저 전문점이 성업 중이었으나 점점 감소하고 있고, 다른 해수욕장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해양레저업계 관계자들은 기후나, 풍향, 풍속 등 기후 조건을 감안할 때 부산이 국내에서 해양레포츠에 가장 적합한 조건을 갖추
고 있는데도 부진을 겪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 너무나 안타깝다고밝히고 있다.
' 해양 수도'를 자처하는 부산이 해양레포츠 분야에서 경남은 물론 이고 경기도에도 뒤쳐지는 원인은 무엇일까? 해양레포츠 전문가들은 우선 해양레포츠를 적극적으로 육성, 활성화시키려는 부산시의 정책적인 의지와 결단력 부족을 가장 큰 원인으로 꼽고 있다. 단적인 예로 윈드서핑 분야만 하더라도 울산시는 지난달 12일 진하해수욕장에서 3억5천여만원을 들여 PWA 세계윈드서핑대회를 개최했다. 경남도도 지난달 10~11일 통영 도남항 일원에서 일본, 러시아, 중국 등 12개국 80여척, 600여 선수가 참가한 가운데 제2회 이순신장군배 국제요트대회를 개최했다. 반면 부산시는 오는 8월 열리는 부산시장배 윈드서핑대회에 1천만
원을 지원해준 것이 전부다. 특히 부산의 해양레포츠에 대한 마스터플랜은 물론 전담 부서나 기구가 없는 것도 부산지역 해양레저 환경을 갈수록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부산시는 관광객 등 이용객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해양레포츠 마케팅을 펼칠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관광객과 시민들은 해양레포츠를 배울 기회를 갖는 것도 쉽지 않은데다 그나마 개설된 시민강좌에 대한 홍보조차 부족하다고 불만을 쏟아내고 있다.
부산요트협회 유재동 부회장은 "부산시가 해양레저산업을 발전시키려면 과감한 마인드 전환이 시급하다"면서 "중국 칭다오시가 베이징올림픽 이후 요트 1천척을 보급해 도시를 아시아의 요트 메카로 만들겠다는 정책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밝혔다.
시설적인 측면도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수영만요트계류장은 국내에서 가장 큰 계류 시설을 갖추고 있으나 편의시설이 부족하다 보니 시민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또 시민들이 해양레포츠를 즐기려고 해도 광안리나 해운대 등에는 보트 등을 계류, 보관할 수 있는 장소가 사실상 마련돼 있지 않다.
더욱이 해양레포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의 대부분이 양식장 등 어민들의 생활터전과 중복돼 있다 보니 레저를 즐기기 어렵다는 볼멘 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이로 인해 시민과 관광객들이 해양레포츠와 어쩔 수 없이 담을 쌓으면서 관련 레저산업도 영업난으로 잇따라 폐업하거나 전업을 강요당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 부산윈드서핑협회 이한림 경기이사는 "경남도는 전담 부서를 별도로 꾸렸고, 경기도는 최근 김문수 지사가 도청광장 앞에 크루즈 요트까지 전시했다"며 "부산의 해양레저를 부흥시키기 위해서는 대대적인 인적·물적 인프라를 서둘러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병철·천영철 기자 cyc@busa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