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소식

[사설/칼럼] [사설]관광객 편의 외면하는 탁상행정

현대천사 2008. 5. 15. 19:04
[사설/칼럼] [사설]관광객 편의 외면하는 탁상행정
신문사 제민일보  등록일자 2008-05-14
모처럼 가족나들이에 나섰다가 시원치않은 안내판 때문에 길을 몰라 헤매는 것은 도민들도 흔히 겪는 불편이다. 도로를 하도 열심히 뚫어놓은 '덕분'에 중산간 등 외곽지역은 그야말로 '미로찾기'나 다름없는 곳이 많다. 도민들이 이정도면 안내자 없이 렌터카 등을 이용하는 개별 관광객들은 오죽하겠는가.
그런데 제주도가 사설관광지 안내판을 '법대로' 단속하면서 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고 한다. 무분별한 설치로 경관이 훼손되고, 네비게이션이 있으니 사설관광지 안내판을 줄여도 문제가 없다는 이유다.
도로법상 사설안내판은 도시지역은 관광시설로부터 반경 5㎞내에 2곳, 외곽지역은 반경 10㎞내에 5곳밖에 설치할수 없다. 사방으로 길이 뚫려있는데 '법대로' 하면 안내판이 부족할수 밖에 없다. 50세가 넘는 관광객들의 네비게이션 이용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고, 그나마 잘 알려진 사설관광지가 아니면 정보제공이 안된다.
지난해 제주도관광협회가 내국인관광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지적된 교통불편사항 1028건 가운데 37.2%가 안내표지판 관련이라면 문제의 심각성을 그냥 보아넘겨선 안될 일이다. 관광 대신 '미로체험'으로 진을 잔뜩 뺀 관광객들이 제주를 다시 찾을 생각이 날리 만무하고, 관광제주의 이미지도 그만큼 실추될수 밖에 없다.
일관성 없는 행정 행태도 비판을 받아 마땅하다. 지난 2006년 제주방문의 해를 전후로 관광지 찾기가 어렵다는 민원 때문에 사설관광지 안내판 단속에 손을 놓고 있다가 뜬금없이 전면단속에 나서 규정에 맞지 않으니 철거하라고 으름짱을 놓고있으니 반발이 나올수 밖에 없다.
현실에 맞지 않는 법은 지키라고 강요할게 아니라 고치는 것이 맞고, 경관훼손이 문제라면 무분별하게 설치된 안내판을 관광객들이 길을 헷갈리기 쉬운 교차로 등지에 보기좋게 설치하도록 유도하는게 행정이 할 일이다. 현실을 외면하고 '법대로'만 목청을 높이거나, '윗분'의 한마디에 오락가락하는 탁상행정은 그만할 때도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