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2에 따르고, 다음과 같은 특징을 살려서 적는다.
1. b, g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에는 받침 'ㅂ, ㄱ'으로 적는다.
2. k, p, t는 무성 자음 앞에서 받침 'ㄱ, ㅂ, ㅅ'으로 적는다.
 |
 |
 |
|
lukt 룩트 |
september 셉템베르 |
husets 후셋스 | |
|
 |
 |
 | | |
 |
c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ㅅ'으로 적는다. |
|
|
 |
d |
| 1. 모음 앞의 d는 'ㄷ'으로 적되, 장모음 뒤에서는 적지 않는다
 |
 |
 |
|
Bodø 보되 |
Norden 노르덴 |
(장모음 뒤) spade 스파에 | |
|
 |
 |
 | | 2. ld, nd의 d는 적지 않는다.
3. 장모음+rd의 d는 적지 않는다.
4. 단모음+rd의 d는 어말에서는 '드'로 적는다.
5. 장모음+d의 d는 적지 않는다.
6. 그 밖의 경우에는 '드'로 적는다.
※ 모음의 장단에 대해서는 노르웨이 어의 발음을 보여 주는 사전을 참조하여야 한다.
|
 |
g |
| 1. 모음 앞의 g는 'ㄱ'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이'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2. g는 이중 모음 뒤와 ig, lig에서는 적지 않는다.
 |
 |
 |
|
haug 헤우 |
deig 데이 |
Solveig 솔베이 |
fattig 파티 |
farlig 팔리 | |
|
 |
 |
 | | 3. n 앞의 g는 'ㅇ'으로 적는다.
4. 무성 자음 앞의 g는 받침 'ㄱ'으로 적는다.
5. 그 밖의 자음 앞과 어말에서는 '그'로 적는다.
 |
 |
 |
|
berg 베르그 |
helg 헬그 |
Grieg 그리그 | |
|
 |
 |
 | | |
 |
j는 자음과 모음 사이에 올 때에 앞의 자음과 합쳐서 적는다. |
|
 |
 |
 |
|
Bjørn 비에른 |
fjord 피오르 |
Skodje 스코디에 |
Evje 에비에 |
Tjeldstø 티엘스퇴 | |
|
 |
 |
 | | |
 |
k는 'ㅋ'으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
|
 |
어말 또는 자음 앞의 l은 받침 'ㄹ'로 적고, 어중의 l이 모음 앞에 올 때에는 'ㄹㄹ'로 적는다. |
|
|
 |
nk는 자음 t 앞에서는 'ㅇ'으로, 그 밖의 경우에는 'ㅇ크'로 적는다. |
|
|
 |
sk는 '스ㅋ'로 적되, e, i, y, æ, ø 앞에서는 '시'로 적고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적는다. |
|
 |
 |
 |
|
skatt 스카트 |
Skienselv 시엔스엘브 | |
|
 |
 |
 | | |
 |
t |
| 1. 어말 관사 et의 t는 적지 않는다.
 |
 |
 |
|
huset 후세 |
møtet 뫼테 |
taket 타케 | |
|
 |
 |
 | | 2. 다만, 어말 관사 et에 s가 첨가되면 받침 'ㅅ'으로 적는다.
|
 |
eg |
| 1. eg는 n, l 앞에서 '에이'로 적는다.
2.그 밖의 경우에는 '에그'로 적는다.
|
ø는 '외'로 적되, g, j, k, kj, lj, skj 다음에서는 '에'로 적고 앞의 '이' 또는 '시'와 합쳐서 적는다. 다만, jø 앞에 그 밖의 자음이 올 때에는 j는 앞의 자음과 합쳐 적고 ø는 '에'로 적는다.
 |
 |
 |
|
Bodø 보되 |
Gjøvik 예비크 |
Bjørn 비에른 | |
|
 |
 |
 | | |
같은 자음이 겹치는 경우에는 겹치지 않은 경우와 같이 적는다. 단, mm, nn은 모음 앞에서 'ㅁㅁ', 'ㄴㄴ'으로 적는다.
 |
 |
 |
|
Moss 모스 |
Mikkjel 미셸 |
Matthias 마티아스 |
Hammerfest 함메르페스트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