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피서철 관광 손님맞이 준비 서둘러야 | |||||
신문사 | 강원일보 | 등록일자 | 2008-05-17 | ||
피서철 관광지 환경 정화 대책이 급하다. 상수도를 비롯한 각종 편의시설 점검은 물론이고 접근 도로망 확보 등 기본적인 준비도 서둘러야 한다. 올여름 사상 최대 규모의 피서 인파가 예고돼 그렇다. 도내 시ㆍ군이 잠정 집계한 지난 1∼3월 관광객 수도 1,385만여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108만여 명(8.5%)이 늘어났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피서객은 3,000만 명을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다. 특히 동해안은 기름 유출 등의 악재가 겹친 서해안 관광객까지 불러들여 예상보다 훨씬 더 많은 인파로 붐빌 것으로 보인다. 동해안 각 시ㆍ군에 비상이 걸린 것은 당연하다. 해마다 피서철이면 예기치 못한 각종 부작용이 잇따라 홍역을 치렀기 때문이다. 최근 인명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동해안 바닷가 방파제나 갯바위 등지의 안전시설도 미리 점검해 적당한 시설을 갖춰야 한다. 사고 다발 지역에 경고판을 설치하거나 구명장비 등을 상시 비치하고 위험지역 출입 통제도 보다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무질서 행위에 대한 특단의 대책도 세워야 한다. 바가지 요금과 호객 등 비뚤어진 상혼이 사라지기는커녕 도처에 도사리고 있어 문제다. 특히 일부 유명 관광지는 벌써부터 폭력이 난무하는 등의 과열 경쟁 양상까지 빚고 있을 만치 우려가 크다. 해안 관광지 상가 밀집지역이나 민박 업소를 중심으로 한 이 같은 불·탈법 행위는 당국의 특별 단속도 아랑곳하지 않을 정도로 골칫거리다. 쓰레기와의 전쟁도 대비책을 세워두지 않으면 예년의 낭패를 되풀이할 수밖에 없다. 투기자를 끝까지 추적해 엄단하는 등의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 강력하게 집행하는 의지를 보일 필요가 있다. 아무튼 피서지 환경개선과 이미지 쇄신은 피서객들의 양심에 의존하는 느슨한 단속과 관리체제로는 어렵다. 자율 정화에 맡기는 것이 순리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강제 수단도 병행해야 한다. 미리 방책을 찾아 두어야 더 큰 혼란을 막는다. |
'관광통역안내사 > 관광통역안내사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억짜리 ‘보리밭’... 고창 ‘보리밭축제’ 55만여명 대박 (0) | 2008.05.19 |
---|---|
헬로키티, 일본 관광홍보 나선다 (0) | 2008.05.19 |
한국관광공사, ‘2008 한국 의료관광 컨퍼런스’ 개최 (0) | 2008.05.19 |
첨단의료단지 유치전 ‘불꽃’ (0) | 2008.05.19 |
亞문화수도 조성사업 내달 본격화 (0) | 2008.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