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학자들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 * 윤휴 * 박세당 * 정제두 ----------------------------------------------
① 서양의 선진 문물 수용 ② 농업 중심의 개혁론 제시 ③ 성리학의 관념화와 교조화 비판 ④ 반도 중심 역사관의 극복
2. 성리학의 발달과 학통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이호아 중심의 남인과 이이 중심의 노론사이에 이기론을 둘러싼 논쟁이 전개되었다. ② 소론은 성혼의 학통을 계승하고 양명학과 노장 사상을 수용하였다. ③ 송시열 중심의 노론은 주자 중심의 성리학을 절대시하였다. ④ 노론과 소론은 심성론을 둘러싸고 호락논쟁을 전개하였다.
3. 양명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주로 경기 지방의 노론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② 도덕적 행위의 근거로서 인간의 심성을 중시하였다. ③ 주자의 견해를 비판하는 학설을 사문난적으로 배척하였다. ④ 박은식, 정인보 등의 한말 국학자에게 영향을 끼쳤다.
4. 다음 중 실학의 등장 배경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조선 후기의 사회 경제적 변화 ② 청의 고증학의 영향 ③ 성리학에 대한 반성과 비판 ④ 서원을 중심으로 한 사림의 성장
5. 다음 중 경세 치용 학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토지 제도의 개혁을 통한 농민 생활의 안정을 중시하였다. ② 청의 선진 문물 수용을 적극 주장하였다. ③ 서울 출신의 노론 집권층에서 주로 배출되었다. ④ 양반 문벌 제도의 비 생산성을 비판하였다.
6. 실학자들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이 익 - 성호사설 - 6좀의 폐단 지적 ② 유형원 - 반계수록 - 균전론 ③ 정약용 - 여유당전서 - 주권 재민의 왕도 정치 ④ 이수광 - 의산문답 - 지전설
7. 다음 중 이용 후생 학파에 해당하지 않는 인물은?
① 박지원 ② 이익 ③ 홍대용 ④ 유수원
8. 북학파의 개혁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농업 기술의 개발을 통한 생산력의 증대를 중시하였다. ② 한말 위정 척사 사상의 형성에 큰 영향을 끼쳤다. ③ 청나라 문물의 적극적 수용을 통한 부국가병을 주장하였다. ④ 원활한 상품 유통을 위한 수레와 선박의 이용을 강조하였다.
9. 다음 역사서들의 공통점으로 옳은 것은?
------------------------------------------------- * 이종휘의 동사 * 유득공의 발해고 ------------------------------------------------- ① 고대사 연구의 시야를 만주 지방으로 확대 ② 존화주의적 역사관 반영 ③ 한국사의 독자적인 정통성 체계화 ④ 조선 시대의 정치와 문화 집대성
10. 다음 중 정약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거중기를 이용하여 수원 화성을 축조하였다. ② 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 개혁론으로 한전론을 주장하였다. ③ 천주교를 신봉하였으며, 실학을 집대성 하였다. ④ 마과회통에서 종두법의 실시를 강조하였다.
11. 조선 후기 국학 연구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김정호 - 각 지역의 자연 화경과 풍속, 인심, 산물 등을 기록한 택리지를 저술하였다. ② 한치윤 - 동사강목을 통해 실증 사학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③ 김정희 - 북한산 순수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혔다. ④ 정상기 - 고금석림을 통해 우리 나라의 방언과 외국 언어를 정리하였다.
12. 영조의 왕명으로 우리 나라의 문물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한국학 백과 사전은?
① 동국문헌비고 ② 지봉유설 ③ 오주연문장전산고 ④ 아방강역고
13. 조선 후기 과학 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김육은 청으로부터 역법인 수시력을 도입하였다. ② 벨테브레는 훈련도감에 소속되어 서양식 대포의 제조법을 가르쳤다. ③ 홍대용과 김석문은 지전설을 주장하여 성리학적 세계관을 비판하였다. ④ 곤여만국전도의 전래는 조선인의 세계관 확대에 기여하였다.
14. 다음 의학 서적들의 편찬 시기를 시대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ㄱ. 향약집성방 ㄴ. 동의수세보원 ㄷ. 동의보감 ㄹ. 향약구급방 -------------------------------------------------------------------
① ㄱ-ㄹ-ㄴ-ㄷ ② ㄹ-ㄱ-ㄷ-ㄴ ③ ㄷ-ㄹ-ㄱ-ㄴ ④ ㄱ-ㄴ-ㄷ-ㄹ
15. 조선 후기 농업 서적과 저자가 잘못 연결된 것은?
① 임원경제지 - 서유구 ② 과농소초 - 박지원 ③ 해동농서 - 서호수 ④ 색경 - 홍만선
16. 조선 후기에 서민 문화가 대두하게 된 배경으로 옳지 않는 것은?
① 상공업의 발달과 농업 생산력의 증대 ② 천주교의 만민 평등 사상의 전래 ③ 서민의 경제적 . 신분적 지위의 향상 ④ 서당 교육의 보급에 따른 서민 의식의 향상
17. 다음 중 조선 후기에 대두된 서민 문화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한글 소설 ② 사설 시조 ③ 진경 산수화 ④ 판소리
18. 조선 후기 공예와 음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자기는 실용적인 분청사기가 유행하였다. ② 서민들은 주로 옹기를 사용하였다. ③ 목공예에서는 장롱, 책상, 문각, 필통등의 기능을 갖춘 작품들이 주로 제작되었다. ④ 상업의 발달로 광대와 기생들에 의해 판소리와 산조, 잡가 등이 창작되었다.
19. 조선 후기 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김홍도는 주로 농촌 서민들의 생활상을 소탈하고 익살스럽게 묘사하였다. ② 신윤복은 주로 양바과 부녀자들의 생활, 남녀 간의 애정 등을 묘사하였다. ③ 정선은 원근법, 명암법 등의 서양화 기법을 반영하여 표현하였다. ④ 우리 민족의 소박한 정서가 담겨 있는 민화가 유행하였다.
20. 다음의 건축물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 ㄱ. 수원 화성 ㄴ. 법주사 팔상전 ㄷ. 도산 서원 ㄹ. 경복궁 중건 -------------------------------------------------------
① ㄱ-ㄴ-ㄷ-ㄹ- ② ㄴ-ㄷ-ㄱ-ㄹ ③ ㄷ-ㄴ-ㄱ-ㄹ ④ ㄱ-ㄷ-ㄴ-ㄹ |
번역사학원,번역자격증시험,번역학원추천,번역가,번역사,번역학원,일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번역전문학원,번역사자격증,번역통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중국어번역학원,번역자격증,번역가시험,일본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번역사자격증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시험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일본어번역사/중국어번역사/일어번역사/영어번역사/번역사학원/중어번역사/번역사자격증/번역사시험/번역사자격증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어번역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일본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학원,영어전문학원/번역사영어학원/영어번역/영어번역가시험/영어번역가자격증/영어번역가전문학원/영어번역가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사자격증학원/영어번역사전문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일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일본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학원/중국어전문학원/중국어번역가자격증/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중국어번역가전문학원/가이드/가이드학원/가이드전문학원/관광가이드/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가이드학원/가이드자격증/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학원/여행가이드/통역학원/통역시험/통역자격증/통역어학원/통역사학원/통역번역학원/영어통역/영어통역학원/영어통역사/영어통역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관광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시험/영어가이드/영어관광학원/영어가이드학원/영어관광통역학원/일어가이드/일어관광가이드/일어관광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일어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관광학원/일어관광학원/일본어통역사/일본어가이드/일본어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가이드/일본어관광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가이드/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관광가이드/중국어관광통역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관광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사/관광통역안내원/관광통역안내원시험/관광통역학원/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시험/관광통역안내사학원/관광통역안내원학원/관광통역자격증/관광통역안내사자격증/관광통역안내원자격증/통번역학원/통역학원추천/통역가이드/통역가이드학원/현대번역통역어학원/현대번역통역학원/현대번역통역어학원안내/현대번역통역어학원약도/현대번역통역어학원추천/현대번역통역어학원위치/번역사/번역가/번역사학원/번역사시험/번역사자격증/번역가시험/번역가학원/번역가자격증/번역자격증시험/번역자격증학원/번역학원추천/번역전문학원/번역학원/번역통역학원/번역자격증/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자격증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시험/일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자격증/일어번역자격증/일어번역시험/일본어번역시험/일본어번역사/일본어번역가/일어번역사/일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일본어번역가자격증/일본어번역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중국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자격증/중국어번역시험/중국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가자격증/중국어번역사자격증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
관광통역학원,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학원,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안내사,통역학원추천,통역가이드,통역가이드학원,관광통역자격증,여행가이드,외국어학원,통역학원,통역시험,통역자격증,통역어학원,통역사학원,통역번역학원,관광통역사/관광통역사학원/통역학원/관광통역학원/통역전문학원/관광통역전문학원/영어통역학원/일어통역학원/일본어통역학원/중국어통역학원/관광통역사/관광통역사학원/통역학원/관광통역,영어가이드학원,영어통역학원,통번역학원,통역학원추천,영어통역,영어가이드,영어관광학원,영어통역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관광통역학원,일본어가이드,일어가이드,일어관광가이드,일어관광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일어통역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관광학원,여행가이드,일본어관광가이드,일본어관광통역학원,일본어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가이드,일본어통역가이드학원,일본어관광통역가이드학원가이드/로컬가이드/로컬가이드자격증/로컬가이드시험/일본현지가이드/일본관광가이드/가이드학원/관광가이드/일본어관광가이드학원/일본로컬가이드시험/일본로컬가이드자격증시험/일본로컬가이드/영어학원/영어전문학원/영어회화/영어회화학원/영어통역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일본어학원/일본어전문학원/일본어회화/일본어회화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관광가이드/일본어통역가이드,중국어가이드,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관광통역학원,여행가이드,외국어학원,중국어관광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사,중국어관광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자격증,중국어통역,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가이드,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가이드,중국어통역사,통역가이드,가이드중
'관광통역안내사시험 > 통역사필기시험 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6.근대 사회의 전개 - ③ 구국 민족 운동의 전개 (0) | 2007.04.02 |
---|---|
[스크랩] 6.근대 사회의 전개 - ① 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0) | 2007.04.02 |
[스크랩] 5.근세 사회의 태동 - ③ 경제상황의 변동 (0) | 2007.04.02 |
[스크랩] 5.근세 사회의 태동 - ② 사회의 변동 (0) | 2007.04.02 |
[스크랩] 4. 근세사회의 발전-④근세의 문화 (0) | 2007.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