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사/우리말공부

(번통역어학원)외래어 표기법(제3장 표기세칙 프랑스어)

현대천사 2008. 7. 16. 21:13
 
표 1에 따르고, 제1절(영어의 표기 세칙)을 준용한다. 다만, 프랑스 어의 독특한 것은 그 특징을 살려서 다음과 같이 적는다..
파열음([p], [t], [k]; [b], [d], [ g ])
1. 어말에서는 '으'를 붙여서 적는다.
soupe[sup] 수프 tête[tɛt] 테트 avec[avɛk] 아베크
baobab[baɔbab] 바오바브 ronde[rːd] 롱드 bague[bag] 바그

2. 구강 모음과 무성 자음 사이에 오는 무성 파열음('구강 모음+무성 파열음+무성 파열음 또는 무성 마찰음'의 경우)은 받침으로 적는다.
septembre[sɛptːbr] 셉탕브르 apte[apt] 압트
octobre[ɔktɔbr] 옥토브르 action[aksj] 악시옹
마찰음([ʃ], [ʒ])
1. 어말과 자음 앞의 [ʃ], [ʒ]는 '슈', '주'로 적는다.
manche[mːʃ] 망슈 piege[pjɛːʒ] 피에주 acheter[aʃte] 아슈테 degeler[deʒle] 데줄레

2. [ʃ]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슈'로 적는다.
chemise[ʃəmiːz] 슈미즈 chevalier[ʃəvalje] 슈발리에 choix[ʃwa] 슈아 chouette[ʃwɛt] 슈에트

3. [ʃ]가 [y], [œ], [ø] 및 [j], [ɥ]앞에 올 때에는 'ㅅ'으로 적는다.
chute[ʃyt] 쉬트 chuchoter[ʃyʃɔte] 쉬쇼테 pêcheur[pɛʃœːr] 페쇠르
shunt[ʃːt] �트 facheux[fαʃø] 파쇠  chien[ʃj] 시앵
chuinter[ʃЧte] 쉬앵테    
비자음([ɲ)
1. 어말과 자음 앞의 [ɲ]는 '뉴'로 적는다.
campagne[kpaɲ] 캉파뉴 dignement[diɲm] 디뉴망

2. [ɲ]가 '아, 에, 오, 우'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각각 '냐, 녜, 뇨, 뉴'로 적는다.
saignant[sɛɲ] 세냥 peigner[peɲe] 페녜 agneau[aɲo] 아뇨  mignon[miɲ] 미뇽

3. [ɲ]가 [ə], [w] 앞에 올 때에는 뒤따르는 소리와 합쳐 '뉴'로 적는다.
lorgnement[lɔrɲəm] 로르뉴망 baignoire[bɛɲwaːr] 베뉴아르

4. 그 밖의 [ɲ]는 'ㄴ'으로 적는다.
magnifique[maɲifik] 마니피크 guignier[giɲje] 기니에 gagneur[gaɲœːr] 가뇌르
montagneux[mɔtaɲø] 몽타뇌 peignures[pɛɲyːr] 페뉘르  
반모음([j])
1. 어말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Marseille[marsɛj] 마르세유 taille[tαːj] 타유

2. 모음 사이의 [j]는 뒤따르는 모음과 합쳐 '예, �, 야, 양, 요, 용, 유, 이' 등으로 적는다. 다만, 뒷모음이 [ø], [œ]일 때에는 '이'로 적는다.
payer[peje] 페예 billet[bijɛ] 비예 moyen[mwaj] 무아�
pleiade[plejad] 플레야드 ayant[ɛj] 에양 noyau[nwajo] 누아요
crayon[krɛj] 크레용 voyou[vwaju] 부아유 cueillir[kœjiːr] 쾨이르
aieul[ajœl] 아이욀 aieux[ajø] 아이외  

3. 그 밖의 [j]는 '이'로 적는다.
hier[jɛːr] 이에르 Montesquieu[mtɛskjø] 몽테스키외 champion[ʃpj] 샹피옹
diable[djαːbl] 디아블    
반모음([w])
[w]는 '우'로 적는다.
alouette[alwɛt] 알루에트 douane[dwan] 두안 quoi[kwa] 쿠아 toi[twa] 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