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반점( , ), 모점( 、 ) |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쓴다.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낸다. |
|
(1)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쓴다.
|
•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를 사군자라고 한다. |
(2) 짝을 지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 쓴다.
|
(3) 바로 다음의 말을 꾸미지 않을 때에 쓴다.
|
(4) 대등하거나 종속적인 절이 이어질 때에 절 사이에 쓴다.
|
(5)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
(6) 제시어 다음에 쓴다.
|
(7) 도치된 문장에 쓴다.
|
(8) 가벼운 감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
(9)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 쓴다.
|
• 그러나 너는 실망할 필요가 없다. |
(10) 문장 중간에 끼어든 구절 앞뒤에 쓴다.
|
(11) 되풀이를 피하기 위하여 한 부분을 줄일 때에 쓴다.
|
(12) 문맥상 끊어 읽어야 할 곳에 쓴다.
|
(13) 숫자를 나열할 때에 쓴다.
|
(14)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에 쓴다.
|
(15)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에 쓴다.
|
2. 가운뎃점(·) |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낸다. |
|
(2)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쓴다.
|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
3. 쌍점( : ) |
|
(2)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에 쓴다.
|
(3)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쓴다.
|
(4)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따위를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쓴다.
|
4. 빗금( / ) |
|
(2) 분수를 나타낼 때에 쓰기도 한다.
|
'번역사 > 우리말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T시험전문학원)한글맞춤법(문장부호 제4절 묶음표) (0) | 2008.06.27 |
---|---|
(TCT자격능력시험)한글맞춤법(문장부호 제3절 따옴표) (0) | 2008.06.27 |
(번역사전문학원)한글 맞춤법(문장부호 제1절 마침표) (0) | 2008.06.26 |
(번역사전문)한글 맞춤법(그 밖의 것) (0) | 2008.06.26 |
(번역가자격증시험준비)한글 맞춤법(띄어쓰기 제4절 고유명사 및 전문용어) (0) | 2008.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