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 관광정책 발상 전환 필요 | |||||
신문사 | 강원도민일보 | 등록일자 | 2008-05-07 | ||
▲ 정인수 환동해정책연구소 이사장강릉 발전은 요원(遼遠)한 것인가. 이것은 현재의 강릉시 최대의 화두이다. 이미 강릉은 인구 마지노선이라고 여겼던 22만명이 붕괴되어 자칫 20만명대마저 수년 안으로 무너질지 모른다는 우려가 팽배하다. 인구 3만명을 자랑하던 주문진읍과 교 1동(신택지 일대) 인구붕괴가 매년 가속화 되고 있다. 전임 시장 재임 시절에 강릉시가 지고 있는 막대한 채무 역시 난제 중에 하나이다. 강릉은 원주와 춘천간의 경쟁력을 상실한 지 오래이며 영동지역 수부도시 강릉이란 말은 흘러간 노래 말에 불과하다. 양양, 속초, 고성은 국제공항에 유람선을 이용한 금강산관광이 육로관광에 이어 자가용을 이용한 관광과 향후 철로를 이용한 관광 메카로 급부상하고 있다. 여기에 북방항로 개척의 상징인 연해주 자루비노항을 오가는 여객선의 장래는 매우 밝다고 한다. 동해시 경우는 동해자유무역지역 조성사업을 위한 기공식에 이어 올 하반기에 동해항~일본 돗토리현 사카이미나토항~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을 잇는 1만5000t급 크루즈 페리가 운행될 것이라는 소식은 강릉 발전을 걱정하는 시민을 더욱 착잡하게 만든다. 삼척시의 경우는 어촌민속박물관, 해신당, 죽서루 등 풍요한 관광지가 조성되어 있고 해안을 끼고 도는 레일바이크 시설을 포함하여 본격적인 관광 개발에 나서고 있음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무엇보다 동해시와 삼척시는 획기적인 발전방안으로 하나의 통합 시로 발전을 도모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져 장차 강릉시를 위협하고 있다. 통합시가 실현 되는 순간 강릉의 미래는 어둡기만 할 것이다.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 그러나 강릉은 한때 국민관광지로 각광 받았던 경포해수욕장에만 연연하는 모습일 뿐 커다란 변화가 보이질 않아 안타까울 뿐이다. 기껏해야 난제였던 무허가 건물 철거, 공공시설물 정비, 백사장과 횟집 상가 간판 등 정비와 10층(34m)까지의 층고 제한 완화로 콘도시설 가능 정도가 현재의 강릉시 관광 전략의 대부분이라고 한다면 연목구어(緣木求魚)와 같은 것으로 혹평하지 않을 수 없다. 구태의연한 정책으로는 결코 강릉이 관광도시로 거듭날 수가 없다. 강릉이야 말로 발상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이 난을 통해 다시 주장하지만 경포대에 철도역(驛)을 부활해야 한다. 불원간 실현될 원주~강릉간 복선철도가 현실화되고 강릉에서 고성군 저진(금강산 입구)까지의 철도건설에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당장은 미래 지향적인 대비라고 할지 모르지만 우선 강릉 경포대에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려면 철도 여행처럼 좋은 것이 없을지 모른다. 또 그것은 나아가 금강산과 원산까지 이어지는 철도여행에는 금상첨화인 것이다. 그리고 이미 세계적으로 새로운 관광사업으로 급부상하고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각 지자체에서 경쟁하게 될 크루즈 관광사업에 하루 빨리 착수해야 한다. 이것마저 좌우고면하다가는 선수를 빼앗길지 모른다. 크루즈 관광선이 정박할 수 있는 전용부두를 하루 빨리 서둘러야 한다. 강릉관광 정책은 거시안적 발상의 대 전환을 통한 과감한 혁신이 선행되지 않는 한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는 이웃 지자체와 경쟁에서 밀려나지 않을까 크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
'관광통역안내사 > 관광통역안내사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주공항, 저가항공사로 고공비행 시동 (0) | 2008.05.08 |
---|---|
보령머드축제 젊어진다 (0) | 2008.05.08 |
“제주 신공항 건설 위한 특별법 필요” (0) | 2008.05.08 |
[기고]전북 서남권 순환관광벨트 조성의 필요성 (0) | 2008.05.08 |
라스베이거스 호텔도 "불황 파고" (0) | 2008.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