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소식

[사설]‘DMZ관광청’ 설립 접경지 숨통 트나

현대천사 2008. 5. 2. 15:46
[사설]‘DMZ관광청’ 설립 접경지 숨통 트나
신문사 강원일보  등록일자 2008-05-01
접경지역의 비무장지대(DMZ)가 세계적인 평화 문화 생태 관광명소로 본격 개발된다. 강원도는 지난달 29일 김진선 지사 직접 발표를 통해 분단 이후 미개발지로 남아 있는 DMZ를 관광 명품화해 이를 지역 발전 동력으로 삼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오는 7월께 ‘DMZ관광청’을 설립해 운영하는 계획도 구체화했다. 이와 함께 현재 추진 중인 고성의 DMZ박물관 건립과 평화마을, 화천의 세계 평화의 종 공원, 철원의 평화산업단지 조성 등 DMZ 관련 각종 사업도 좀 더 속도를 낼 수 있도록 도 차원의 지원을 대폭 강화한다는 방침을 내놓아 기대가 크다.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등 5개 군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설치돼 있는 DMZ는 60년이 넘게 버려진 금단의 땅이다. 더욱이 DMZ에 연접한 접경지역은 군사시설보호구역 설정 등으로 규제를 받아 지금까지도 낙후와 소외의 불이익을 당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남북관계의 특수한 상황에 묶여 옴짝달싹도 못한 그야말로 개발 무풍지대다. 지난달 28일 출범한 강원 경기 인천의 접경지역 시장·군수협의회가 무엇보다 우선해 해결을 촉구한 현안도 안보와 환경 규제에서 벗어나는 절박한 사정 타개여서 이번 DMZ 관광 개발 추진이 더욱 남다르다.

DMZ 관광 자원화는 아직 갈 길이 멀다. 냉정한 현실 진단이 따라야 함은 물론이다. 당장 남쪽지역에서만 추진되는 반쪽 사업으로는 효율성이 떨어지고 세계화도 어렵다. 당사자인 북한의 협력이 관건인 만큼 경색국면인 남북관계가 어떻게 풀리느냐가 변수라는 것이다. 또 연천 파주 일대의 DMZ 관광상품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경기도와의 공조 여부도 확실히 챙겨야 불필요한 중복 투자를 막을 수 있다. 접경지역 5개 지자체의 적극적인 협력도 이끌어내야 한다. 차별화된 관광 모델 창출을 위해서는 사전에 필요한 절차와 실천 전략 공유가 필수적이다. 아무튼 DMZ 관광명소화 사업이 탁상공론으로 끝나지 않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해주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