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명(國名) |
|
|
|
| |
중국: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의 약칭) 건국일: 1949. 10. 1 | |
| 공식명칭은 중화인민공화국이며 통상 줄여서 중국이라고한다. 중국이라는 이 명칭은 3천년 전 서주시대부터 사용되었는데 가장 오래된 기록은 맹자와 삼국지의 "촉지" 가운데 제갈량전에 나온다. "중(中)"은 중앙. 중심이라는 뜻이며 이는 중국이 세계의 중앙, 중심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 중국인들의 의식근저를 가장 단편적으로 잘 나타낸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로는 People's Republic of China (PRC)로 표기한다 |
|
|
 |
중국(中國)의 상징(象徵) |
|
|
|
| |
1. 국기(國旗): 오성홍기(五星紅旗) |
 |
중국 국기(國旗)는 오성홍기(五星紅旗)로 1949년 공산당정부를 탄생시킨 인민 정치협상회의(정협)에서 결정했으며, 붉은 바탕은 혁명을, 황색 별은 광명을 나타내는 동시에 황색인종을 표시하는 것이라 한다. 좌측 상단에 다섯 개의 별이 있는데 이중 가장 큰 별은 중국공산당을 상징하고, 나머지 4개의 작은 별은 중국인을 상징하는 것으로 모택동이 분류한 노동자, 농민, 도시 소자산 계급, 민족자산계급을 말한다. 결국 다섯 개의 별은 중국인민의 대단결을 뜻한다. | |
|
2. 국장(國章) |
 |
국장은 중앙에 다섯 개의 별이 비추고 있는 티엔안먼(天安門이 있고, 그 주위에는 톱니바퀴와 쌀, 밀의 이삭이 배치되어 있다. 티엔안먼은 5.4운동의 시발지이자 신중국 건국이 선언된 곳이기도 하다. 천안문은 중국의 민족정신을 상징하고 톱니바퀴와 이삭은 노동계급과 농민을 의미한다. 다섯 개의 별은 '중국 공산당 영도 하에 국민이 단결한다.'라는 뜻이다. 별 색깔은 황색, 바탕색은 홍색인데 별의 황색은 중화민족이 황색인종이라는 것을, 바탕의 홍색은 공산당 혁명을 의미한다.
| |
|
3. 국가(國歌) : 의용군 진행곡(義勇軍 進行曲) |
 |
국가인 <의용군 진행곡>은 극작가 티엔한(田漢)과 니에얼이 영화 <풍운아녀(風雲兒女>의 주제가로 작곡한 것으로, 항일전쟁 시기에 사람들에게 애창되다가 1949년 정치 협상회의에서 국가로 제정되었다. 문화 혁명 때 티엔한 (田漢)이 비판당하고 나서 잠시 동안 불려지지 않으나 1982년 말부터는 원상회복되었다. |
|
|
|
| | | |
|
|
|
 |
지리(地理) |
|
|
|
| |
 |
1. 위치(位置) 및 면적(面積) |
- 면적: 960만(9,597,000)㎢ 세계 3번째, 한반도의 44배 - 남북: 흑룡강성 (북위57˚) <-> 해남도 (북위18˚) 5,500km - 동서: 하바로프스키 (동경135˚)<->신장 위그르자치구(동경75˚) 5,500km - 영해: 12해리(1958.9.4 선언, 1992.2.25 영해 및 접속수역법 제정공포) - 국경선 총 길이: 20,280㎞(한국, 러시아, 몽골, 중앙아 3국, 아프카니스탄, 파키스탄, 인도,네팔, 부탄,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 등 14개 국가와 육지접경) - 표준시: 북경시간 사용 (한국과 시차 1시간) |
| | |
|
2. 지형(地形) |
 |
- 서고 동저형 지형 - 농지 10%, 초원 33% (이용 가능한 초원이 23%) - 농가 1호당 경지 면적 : 0.5㏊ (한국 1.2㏊) 남부는 석회암이 침식된 카르스트 지형이고, 북서부는 건조한 사막지대가 대부분이다. 중국의 지형은 서고 동저형으로 크게 서부고원지대, 중원, 만주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황하, 양자강은 지세에 따라 태평양을 향해서 동으로 흐른다. 그러나 노강과 같이 남류하여 인도양으로 흐르는 강도 있고 신강의 엘테인 강과 같이 북류하여 북극해로 흐르는 강도 있다. 중국 서남부의 티베트 고원은 대부분 해발 4천 미터 이상이고 몽골의 신강 공원은 해발 1천 미터 안팎의 구조분지를 넓게 형성하며 중국면적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있으나 고지와 사막이 대부분이어서 농경이 불가능하다. 중심부와 동북지방은 강이 많은데 동북지역의 흑룡강은 그 지류인 우수리강, 송화강을 끼고 강 자락을 따라 동북만주평원을 펼쳐놓고 있다. 황토지역을 흐르기 때문에 물 색깔이 퇴적되어 화북평야를 이루었고 "장강"이라 부르는 양자강은 중국에서 제일 긴 강으로서 총 연장 5천2백 킬로미터의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 |
|
|
|
| |
|
3. 기후(氣候): 온대 및 아열대성 기후 |
 |
국토의 대부분이 온대 몬순권이나 영역이 크고 지형이 복잡하여 기후의 변화가 크다. 중국은 여섯 개의 온도대로 나누고 있다. 동북지방은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은 반면 남부지방인 해남성은 여름은 길고 겨울이 짧으며 동부 연해지방은 사계절이 분명하고 온난 다습하다. 남부의 해남성(海南省)은 연평균 기온24도의 아열대 기후인 반면 북부의 흑룡강성은 연평균기온 4℃의 냉대 기후권에 속하는 등 남북으로 큰 기후 차를 보이고 있다. 또한 북서쪽의 청해(靑海), 티벳, 신강(新疆)지역과 내몽고 지역은 고산기후를 나타내고 있다. |
|
|
|
| | | |
|
|
|
 |
지역구분(地域區分) |
|
|
|
| |
1. 행정구역(行政區域) |
 |
- 23성, 4직할시, 5자치구, 2특별자치구 (중국은 대만을 23번째 성으로 간주) [23개 성] ☞ 화북구: 하북성, 산서성 ☞ 서북구: 섬서성, 감숙성, 청해성 ☞ 동북구: 요녕성, 길림성, 흑룡강성 ☞ 화동구: 강소성, 절강성, 안휘성, 강서성, 복건성, 산동성 ☞ 중남구: 하남성, 호북성, 호남성, 광동성, 해남성, 대만성 ☞ 서남구: 사천성, 운남성, 귀주성 [4직할시] ☞ 북경, 천진, 상해, 중경 [5자치구] ☞ 내몽고, 신강위구르, 서장, 광서장족, 영하회족 자치구 [2특별자치구] ☞ 홍콩, 마카오 ※ 1997.7.1, 영국으로부터 홍콩을 인수 받아 특별 특별행정구 설치 ※ 1999.12.20, 포르투갈로부터 마카오 인수 받아 특별행정구 설치 |
|
|
|
| |
|
2) 주요 권역 별 현황(主要 圈域別 現況): 행정 구역 외 6개 권역으로 구분 |
|
- 華北區 - 중국의 행정, 문화의 중심지 - 東北區 - 농산물, 광물자원이 풍부하고 중공업이 발달 - 華東區 - 가공공업 위주의 공업중심지 - 中南區 - 자원이 풍부한 개방 중심지 - 西南區 - 농업 및 광물자원 풍부 - 西北區 - 전국토의 32%를 차지하나 인구는 7%에 불과한 낙후지역
※ 광대한 면적을 자랑하는 중국은 각 지역마다 역사적 배경, 기후, 문화가 다르지만 크게 나누어 보면 화북(華北), 화중(華中), 화남(華南), 동북(東北), 서북(西北), 서남(西南)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화북지역]은 중국 대륙의 동쪽에 위치한 화북대평원과 황하 중류에서 하류까지를 포함한 지역으로 북으로는 내몽고 자치구에서 하북성(河北省), 산서성(山西省), 산동성(山東省), 하남성(河南省), 북경과 천진을 포함한다. 이 지역은 황하를 중심으로 문화가 발달하였고 그 문화를 바탕으로 중국 역사의 중심지가 되었기 때문에 명승유적지가 많다. 중국의 역사를 느끼고 싶은 여행객들에게 좋은 지역이다.
[화중지역]은 장강(양자강)을 중심으로 호수와 산이 많은 지역으로 자연경관이 빼어난 곳이 많다. 이 지역에서 유명한 곳은 상해와 경치가 볼만한 항주, 소주 등이 있다.
[화남지역]은 중국대륙의 남쪽 해안선을 따라 퍼진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형산(衡山), 노산(盧山)을 중심으로 한 경치가 좋은 산악지역과 화남지역 최대의 도시인 광주(廣州), 자연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한 계림(桂林) 등이 있다.
[동북지역]은 길림성(吉林省), 흑룡강성(黑龍江省), 요녕성(遼寧省)의 3성을 중심으로 한 지역으로 북쪽은 흑룡강을 경계로 러시아와 서쪽은 몽고, 동남쪽은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이 지역은 현재 경제 발전이 활발한 곳으로 길림, 하얼빈, 심양 등이 있다.
[서북지역]은 당나라의 수도였던 서안(西安-장안)과 실크로드를 포함한 지역으로 동서로 3000㎞에 걸친 광활한 지역. 이 지역은 여름에는 40℃를 넘고 겨울에는 영하 10℃이상으로 떨어지는 기온변화가 큰 곳이다. 서안, 돈황(敦煌), 우루무치 등이 유명하다. |
|
|
|
| |
| | |
|
|
|
 |
인구(人口) |
|
|
|
| |
1) 인구 총수(人口 總數): 12억 9,533만 명 (세계인구의 약 1/5) (2003년 현재) 2) 인구 정책(人口 政策): 한 자녀 갖기, 「만혼, 만육, 소생, 우생」정책 실시 3) 인구 증가율(人口 增加率): 1.006 % 4) 인구 밀도(人口 密度): 125명 / ㎢
전체인구의 70%가 국토면적의 30%를 차지하는 동부연해 및 경작이 유리한 평원, 분지에 거주하며 지역별로는 동부 및 중남부지역에 총인구의 57%가 집중되어 있다.
중국과학원에서는 2025년에 중국인구가 15억 명을 넘어서리라는 예상과 함께 한계인구를 16억 명으로 추정하고 법으로 '1가구 1자녀'의 산아제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이 법을 어기면 직장에서 심한 불이익을 당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중국인들의 남아선호사상은 정부의 산아제한정책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간혹 허용된 자녀 수를 벗어나 낳은 자녀를 제때에 호적에 올리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아이를 '헤이하이쯔(黑孩子)'라고도 하는데 사회적으로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다. 산아제한제도는 특히 한족에게는 엄격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소수민족에게는 인구수에 따라 융통성 있게 적용되고 있다. |
|
| | |
|
|
|
 |
민족구성(民族構成):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 |
|
|
|
| |
1) 한족(漢族): 1,099만 명(91.02%) 2) 소수민족(少數民族): 55개 민족 8,579만 명 - 장족: 1550만 명, 만주족: 980만 명, 회족:860만 명, 묘족:740만 명, 조선족:192만 명
※ 중국은 전 인구의 92%가 한족이며 그 외 55개의 소수민족이 있다. 55개 소수 민족 중에서는 장족이 인구가 가장 많은 소수민족으로 90년 인구조사 시 1,549만 명이었다. 그 밖에 회족, 위구르족, 티베트족의 비중이 큰 편이며 중국 정부는 주요 소수민족에 대해 자치권을 확대해 주고 있다.
|
| | |
|
|
|
 |
종교(宗敎): 불교, 기독교, 도교, 회교 |
|
|
|
| |
1) 중화인민공화국 헌법(中華 人民共和國 憲法)(`82년) 제36조에 의해 종교의 자유는 인정하고 있으나 종교활동은 당과 정부의 지도하에 제약을 받고 있다.
2) 신자수(信者數) 도교와 불교신자(확실한 통계가 없음), 이슬람교(1400만), 기독교(500만), 카톨릭(300만)
※ 중국은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만큼 다양한 종교를 가지고 있다. 주요한 것으로는 불교, 도교, 이슬람교, 천주교, 기독교 등이다. 이들은 각각 자체의 전국적, 지방적 조직을 가지고 있다. 모든 정상적 종교활동은 헌법의 보호를 받는다. 중국의 종교는 문화혁명시기에 일시적으로 탄압을 받았으나 최근에는 다시 활동이 증가되고 있다. 중국의 신앙인구는 약 1억에 달한다고 한다. 외국인의 공개적 포교활동은 엄격히 통제되고 있다.
[도교]는 약 2세기경에 중국에서 자생한 종교이며 한족들이 주로 믿고 있다.
[불교]는 기원전 1세기경 중국에 유입되었으나 4세기경에 널리 확산되어 중국에서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친 종교로 발전했다. 불교의 한 갈래인 라마교는 주로 서장과 내몽고에 전파되었다.
[이슬람교]는 7세기 중엽에 중국에 전파되었다. 회족, 위구르족, 카자흐족 등이 신앙하고 있으며 묘족, 이족, 요족은 상당한 부분이 천주교를 믿고 있다.
[천주교와 기독교]는 여타 종교에 비하여 유입된 시간이 짧고 영향도 적으며 주로 상해, 북경같은 대도시와 소수의 농민들이 믿고 있다. |
| | |
|
|
|
 |
언어(言語) |
|
|
|
| |
1) 중국어(中國語) : 漢語(普通話) 2) 표준어(標準語) : 수백년동안 사용한 北方官話를 기초 방언으로, 북경어를 표준음으로, 현대의 모범적인 구어를 어법 표준으로 함.
표준 중국어로서, 중국에서는 보통화라고 한다. 공식문자는 간체자이고, 이는 1950년대 이후 중국에서 원래 한자의 모양을 간략하게 만든 것으로써, 기본적인 한자를 어느 정도 아는 사람이라면 간체자를 알아보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국어는 한족이 사용하는 한어를 가리키는데 4가지로 음의 높낮이를 나타내는 성조가 있어 음악적으로 들린다.
중국은 1958년부터 '한어병음방안'을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알파벳 자모를 차용하여 중국음을 표기하는 방법으로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중국은 국토가 넓고 인구가 많기 때문에 방언이 매우 발달되어 있다. 대표적인 중국방언은 7종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이 중 북방방언은 현대 중국표준어의 모태이다.
우리나라 방언이 의사소통의 문제가 없는 지방적 특징에 불과한 반면 중국 방언은 방언과 차방언이라는 등급이 있어 좀 더 복잡한 양상을 띤다. 대개의 방언은 한족언어에서 갈라져 나왔으나 대화를 할 때에는 통역을 내세워야 할 만큼 의사소통이 안된다. |
| | |
|
|
|
 |
기후(氣候) |
|
|
|
| |
1) 몬순기후(몬순氣候) - 4계절이 분명하고 우기와 더위가 일치함. 2) 현저한 대륙성 기후(大陸性氣候) - 온도와 강우량의 변화율이 크고 고저의 차이가 큼.
※ 중국은 땅이 넓고 지형이 복잡한 만큼 기후도 매우 다양하다. 동북지방은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으나 남부지방인 海南省(해남성)은 여름이 길고 겨울이 짧다. 또 동부의 연해지방은 사계절이 뚜렷하며 온난습윤하다. 중국은 내륙으로 갈수록 건조하여 新疆(신강)타림분지는 연간 강우량이 10mm도 안된다. 중국 국토의 대부분은 온대몬순권이지만 해남성 같은 곳은 연평균 기온이 24°C인 아열대 기후이고 북부의 흑룡강성은 연평균 기온이 4도c로 냉대기후권에 속하는 등 남북으로 큰 기후 차이가 있다. 이밖에 북서부 청해, 티베트,신강지역,내몽고 지역은 고산건조기후를 보인다. |
| | |
|
|
|
 |
화폐(貨幣)와 환율(換率) |
|
|
|
| |
1) 화폐단위(貨幣單位): 人民幣(RMB) 2) 환율(換率): US$1.00 = 8.26元 (2005년 4월 현재) 3) 화폐단위(貨幣單位): 1위엔[회화시는 콰이(塊)] = 10지아오(角)[회화시는 마오(毛)] =100펀(分)
※ 과거 중국의 화폐는 내국인용 화폐인 人民幣(인민폐)와 외국인용 화폐인 外匯兌換券(외회태환권)의 두가지 종류가 있었으나, 95년 1월 1일부터는 공식적으로 인민폐 만을 사용하고 있다. 수표를 제외하고 가장 고액권인 지폐는 100元짜리이며 그 밑으로 50元 ,20元, 10元, 5元, 2元, 1元과 5角, 2角, 1角 등이 있다. 분(分)단위의 화폐도 동전 및 지폐가 있기는 하나 실제생활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인민폐(RMB)로써, 단위는 원(元), 각(角), 분(分)이다. 1元은 10角이고 100分이다. 1위엔은 우리돈으로 160원 정도에 해당된다. 보조통화로 (자아오)와 (펀)이 사용되며, 일상 생활에서는 위엔을 (콰이)와(마오)로 부른다. 1콰이: 위안=10마오정도이고, 1마오=쟈오=1-펀으로 펀이 가장 낮은 화폐단위이다.
|
| | |
|
|
|
 |
국경일(國慶日)및 공휴일(公休日) |
|
|
|
| |
1) 신정(元旦): 양력 1월 1일 (1일간 휴무) 2) 구정(春節): 음력 1월 1일 (우리나라의 설과 같으며 3일간 휴무) 3) 노동절(勞動節): 양력 5월 1일 (근로자의 날로 1일간 휴무) 4) 건국기념일(國慶節): 10월 1일 (중국최대의 국경일로 2일간 휴무) 5) 기타 절기(基他 節期) - 정월대보름(元宵節), 단오(端午節), 칠월 칠석(七夕), 추석(仲秋節), 섯달 그믐(除夕)등의 절기가 있으나 모두 민간절기로 휴무일은 상기한 국경일 휴가 7일이 전부임. |
| | |
|
|
|
 |
주요도시(主要都市) |
|
|
|
| |
※ 수 도: 北京 (인구 1,382만 명, 2001년 현재) 1) 북경(北京): 3천년 역사의 고도, 중국의 수도 2) 상해(上海): 중국최대의 상업도시(항구) 3) 천진(天津): 북부 최대의 항구(뻬이징의 해상관문) 4) 광주(廣州): 남쪽 연안도시의 중심으로 가장 먼저 개방한 도시 5) 청도(靑島): 최근 급부상 하고 있는 경제 중심지 |
| | |
|
|
|
 |
13. 정치(政治) |
|
|
|
| |
1) 정체(政體): 노농연맹에 기초한 인민민주독재의 사회주의 국가(93년신헌법 제1조규정) 2) 정부형태(政府形態): 공산당 일당 독재(형식상 8개 정당존재) 3) 의회(義會): 단원제(전국인민대표대회) 4) 주요정책(主要政策) - 경제건설을 중심으로 하는 중국식 사회주의 건설 추진 - 대륙. 대만간 국가통일 실현(1국 2체제 방식) - 패권주의 반대, 세계평화 옹호 5) 유엔가입(UN加入): 1971.10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 중국은 노동자계급이 중심인 사회주의 국가로서 黨(당)과 政(정)으로 정치권력이 분리되어 있다. 형식상 당은 국가조직과 무관하며 그 역할이 정치 이데올로기에 관한 일로 국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국가 중요 사항의 대부분을 결정하고 있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중앙정치국 상임위원회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중국의 주요 국가기관에는 전국인민대표자 대회와 국가주석, 부주석 선출, 중앙군사위원회 주석과 최고인민법원 원장, 최고인민검찰원 검찰장 등 최고국가기관 지도자를 선거한다. 국가주석은 국가의 원수이며 법률의 공포, 국무원 구성원의 임명, 대사파견, 외국 사절의 접수 등의 권한을 가지고 있다. 국무원은 중앙인민정부로서 최고국가행정기관이다. 국무원은 성, 직할시, 자치구의 인민정부를 통할하고 중앙, 지방, 해외주재 행정기관의 감독, 조정을 맡아 보는 동시에 경제개발계획, 국가예산의 작성과 집행, 공안업무를 담당한다. 중앙군사위원회는 국가의 군사지도기관으로 전국의 무장력을 통솔한다. 중국의 무장력은 인민해방군, 무장경찰부대와 민병을 포함한다.
6) 한국(韓國)과 중국(中國)의 관계(關係) 중국 공산당은 1949년 정부를 수립한 후 모든 친미국가를 적성국으로 간주하는 외교정책을 펼쳤다. 이 정책으로 중국은 한국과 외교를 단절하고 북한을 중심으로 하는 한반도 정책을 실시해 왔다. 그러나 1973년 한국의 대 공산권 문호개방에 이어 1978년 중국의 제 11기 제 3차 전인대에서 중국이 개혁실용주의를 채택하고 대외개방정책을 추진함으로써 한국과 중국관계의 우호가능성이 싹트기 시작하였다.
70년대에 삼각무역 등 제 3자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교류를 해오던 중에 1983년 5월 납치당한 중국민항기가 춘천 미군기지에 불시착한 사건을 계기로 양국간의 직접적인 접촉의 기회가 이루어졌다. 이때 중국은 대한민국의 정식국호를 사용하여 접촉을 시작하였고 양국은 체육, 관광, 이산가족, 친척방문 등 비정치적인 영역에서 교류를 시작하였다.
그 후 1986년 서울 아시아경기대회에 중국이 대규모 선수단을 파견하여 두 나라 관계의 중요한 전환점이 이루어졌으며 1988년 서울올림픽과 1990년 북경 아시아경기대회에서도 서로의 선수단 교류가 있었다. 1990년에 들어와서 양국은 영사기능의 일부를 수행하는 무역대표부 설치에 합의하여 새로운 교류의 이정표를 마련하였으며 1992년 8월 24일 북경에서 한중 수교 공동성명에 서명함으로써 두 나라 관계의 새 장을 열었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도 교역, 투자, 산업협력 등 양국의 경제교류는 확대, 심화될 것이다. |
| | |
|
|
|
 |
중국의 역사 |
|
|
|
| |
1) 선사시대 1927년 중국의 베이징시 외곽 저우커우톈[周口店]에서 제4기 홍적세(洪積世)의 중기 제2간빙기(第二間氷期) 지층에서 직립 유원인 다음의 고인골(古人骨)이 발견되어 북경인(北京人:Sinanthropus Pekinesis)이라는 학명이 붙여졌다.그 후 마지막 제4빙하기에 현대 아시아인종의 조상인 상동인(上洞人)이 저우커우톈의 석회암 동굴에서 발견되었다. 신석기시대에 들어와서 최고(最古)의 채색토기 문화가 나오는데, 이는 흑·백·홍으로 문양(文樣)을 그린 토기로 화베이 일대에서 남쪽으로는 푸젠·타이완에 분포하는데 1921년 허난성 양사오유적[仰韶遺蹟]에서 출토되어 이 계통의 문화를 앙사오문화라고 총칭한다. 그 다음에 나타난 흑색토기(黑色土器) 문화의 대표적 유적은 산둥성 룽산전[龍山鎭]에서 출토되었는데 이 이름을 따라 룽산문화라고 한다.
2) 고대 중국의 전설에 의하면 상고의 3황(三皇)·5제(五帝)의 평화 시대를 거쳐 하(夏)·은(殷)·주(周)의 3대(三代)가 계속되었다고 한다. 은허에서 발견된 귀갑수골(龜甲獸骨)에 새겨진 한자의 최고형(最古形)인 복사(卜辭)에 의하여 은대의 사회를 알 수 있다. 은나라는 웨이수이[渭水]에서 일어난 주(周)나라에 의하여 멸망되었는데 주나라는 왕권의 확립과 사회의 안정에 따라 제자백가(諸子百家)와 같은 문화가 발달하였다. 주나라는 BC 770년 수도를 낙읍(洛邑:지금의 洛陽縣)으로 옮겼다. 주나라의 동천 후 춘추(春秋:BC 770∼BC 403)시대를 거쳐 전국(戰國:BC 403∼BC 221)을 거쳤고 BC 221년, 진(秦)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천하를 통일하였다.
진나라는 중앙집권적인 군현제도(郡縣制度)를 단행하고 행정·군사·감찰의 3권분립 체제를 세웠다. 또 만리장성(萬里長城)을 축조하고 국위를 사방에 떨쳐 진(Chin)의 이름이 서쪽에 전해져 ‘china’라는 명칭의 기원이 되었다. 그러나 BC 207년 진은 멸망하고, 서민 출신인 유방(劉邦)이 장안(長安)을 수도로 한왕조(漢王朝)를 창업하였다(BC 202). 한대에는 서방과의 교통이 활발하여 그 문화가 수입됨으로써 중국 문화의 내용이 충실해졌다. 지방 호족(豪族) 세력이 발전하게 되어 한때 왕망(王莽)이 신(新)을 건국하였지만 15년 만에 무너지고 광무제 유수(光武帝 劉秀)에 의하여 후한(後漢:25∼220) 시대가 된다. 그러나 전한부터의 타성이 그대로 남아 184년 황건(黃巾)의 난을 계기로 몰락의 기로에 들었다.
3) 중세 황건의 난으로 군웅할거된 중국의 국토는 조조(曹操)의 아들 조비(曹丕)가 낙양에 세운 위(魏)와 유비(劉備)가 청두[成都]에 세운 촉한(蜀漢), 그리고 양쯔강 중·하류에 손권(孫權)이 세운 오(吳) 등의 3나라로 삼국정립 시대가 되었다. 280년 위의 신하이던 사마씨(司馬氏)가 3국을 통일하여 서진(西晉)이 되었고, 4세기 초 흉노(匈奴)의 침입으로 난징[南京]으로 옮겨 동진(東晉)이라 하여 명맥을 유지하였다. 그 후 송(宋)·제(齊)·양(梁)·진(陳)의 4조(四朝)와 오(吳)·진(晉)을 더한 6조(六朝)가 교대되었는데 이 시대의 문화는 귀족과 호족들의 풍족한 생활에서 전개된 화려하고 우미한 것이었다.
한편 화베이지방은 5호16국(五胡十六國)이 서로 싸우다가 선비족(鮮卑族)이 439년 북위(北魏)로 통일하여 송(宋)나라와 대항하여 남북조 형세를 이루었다. 이러한 형세는 581년 북조의 수(隋)나라에 의해 통일되었다. 수나라 문제(文帝)는 군권을 강화하고 과거(科擧)제도를 시작하였으며, 양제(煬帝)는 대운하를 만들었지만 고구려와 싸워 대패함으로써 내란이 일어나 618년 멸망하였다. 이연(李淵)이 장안을 점령하고 당(唐)나라의 제위에 올라, 이후 당나라는 넓은 대제국으로 영토를 확대하였다. 귀족의 취미와 외형의 미를 강조하는 당대의 문화는 국제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고 이런 문화는 인접 국가에 파급되어 동아문화권(東亞文化圈)이 형성되었다. 그러나 후기로 오면서 귀족 계급이 몰락하고 황소(黃巢)의 난이 일어나 907년 주전충(朱全忠)의 후량(後梁)에 멸망되었다. 이후 5대 10여 개국이 흥망하였다.
4) 근대 당나라 말에서 5대에 걸친 비약적 산업발전 상황에서 송(宋)나라의 통일이 이루어졌다. 송나라의 국책 기조는 재정(財政)에 두었으며 국내 경제를 통제하는 강력한 중앙집권 정치를 완성하였다.당말(唐末) 5대에 걸치는 혼란 속에 귀족계급은 몰락하고 균전제(均田制) 아래에서 발전해온 형세호(形勢戶)라는 신흥 지주층 세력이 신장하였다. 송(宋)나라가 절도사를 폐지하자 그들이 장원(莊園)의 영주가 되고 경작은 전호(佃戶)라는 농노가 주로 하였다.
송대의 문화적 특색은 국수적(國粹的)·내성적·서민적인 점에 있고, 그 기반은 지주·관료들이었다. 한편 화베이지방으로는 넓은 지역에 요(遼)가 대제국을 건설하여 번창하였다(916∼1125). 또 서부에서는 티베트계[西藏系]의 서하(西夏)나라가 일어나 송(宋)나라는 두 나라에게 시달림을 받았다. 12세기에는 만주 지방의 여진족(女眞族)이 세운 금(金)나라가 급속도로 성장하여 요(遼)를 멸망시키고 송나라의 수도 카이펑[開封]을 함락시켜, 송(宋)나라는 강남(江南)으로 도망하여 항저우[杭州]에 임시 수도로 정하였으므로 이를 남송(南宋)이라 칭한다(1127).
13세기 초에는 몽골 민족에 의해 원(元)나라가 대제국을 건설하여 남송(南宋)을 멸망시키고 일본에 원정하는 등 여러 지역을 경략하였다. 그러나 원왕조(1216∼1368)는 인구와 문화수준의 열세 때문에 명태조(明太祖)에 쫓겨 북방으로 추방되었다. 명나라는 수도를 베이징[北京]으로 옮기고 중앙집권적 전제국가(專制國家)를 확립하였다. 그러나 국내재정의 곤란과 환관(宦官)의 발호, 기강의 퇴폐 등 문제가 산적한 명왕조가 내란으로 자멸하자, 만주 여진족의 청(淸)이 북경에 들어와 중국의 지배자가 되었다.
5) 최근세 산업혁명을 치른 서구의 문화가 명나라 말기, 청(淸)나라 초기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영국은 아편전쟁을 일으켜 청왕조에 큰 타격을 주었다. 서구 세력들의 물밀듯한 침점(侵占)으로, 홍콩[香港]을 영국에게, 만주 북방을 러시아에게 할양하고, 안남(安南) 등 조공국에 대한 종주권(宗主權)을 잃었으며, 국내 요소에 외국 조계(租界)가 많이 설치되어 청왕조의 주권이 미치지 못하게 되었다. 이러한 동요 속에서도 근대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운동이 일어났다. 동치중흥(同治中興)을 통해 근대공업이 일기 시작하였으나 청일전쟁이 일어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청일전쟁 직후에는 캉유웨이[康有爲]의 점진개혁론이 활발하였으나 무술정변(戊戌政變)에 의하여 실패하고 의화단(義和團)의 북청사변(北淸事變)은 청왕조를 더욱 궁지로 몰아넣었다. 러일전쟁 후 쑨원[孫文]이 신해혁명(辛亥革命)에 의하여 임시 대통령에 취임하여(1912) 2,000년 이래의 전제군주제가 무너지고 공화제의 중화민국(中華民國)이 탄생되었다. 그러나 그후 약 20년간 군벌의 압제에 시달려야 했다.
쑨원의 사후에 후계자가 된 장제스[蔣介石]는 북벌(北伐)의 성공으로 양쯔강 유역에 진출하였다. 난징사건[南京事件]이 일어나 소련과 단교한 장제스는 군벌 장쭤린[張作霖]을 몰아내어 국민정부를 정통정부로 만들었다(1928). 장제스는 소련과 단교하였을 때 중국 공산당도 탄압하였다. 일본의 침공이 격화되자 장제스는 다시 중국 공산당과 화해하여 일본에 대항하였다. 중국 공산당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을 세웠다. | | | |
번역사학원,번역자격증시험,번역학원추천,번역가,번역사,번역학원,일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번역전문학원,번역사자격증,번역통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중국어번역학원,번역자격증,번역가시험,일본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번역사자격증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시험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시험일정/번역사시험일정안내/번역사시험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번역사/일본어번역사/중국어번역사/일어번역사/영어번역사/번역사학원/중어번역사/번역사자격증/번역사시험/번역사자격증학원/번역사자격증시험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어번역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일본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학원,영어전문학원/번역사영어학원/영어번역/영어번역가시험/영어번역가자격증/영어번역가전문학원/영어번역가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사자격증학원/영어번역사전문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일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전문학원/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사,일본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학원/중국어전문학원/중국어번역가자격증/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안내/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중국어번역가전문학원/가이드/가이드학원/가이드전문학원/관광가이드/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가이드학원/가이드자격증/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학원/여행가이드/통역학원/통역시험/통역자격증/통역어학원/통역사학원/통역번역학원/영어통역/영어통역학원/영어통역사/영어통역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관광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시험/영어가이드/영어관광학원/영어가이드학원/영어관광통역학원/일어가이드/일어관광가이드/일어관광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일어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관광학원/일어관광학원/일본어통역사/일본어가이드/일본어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가이드/일본어관광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가이드/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관광가이드/중국어관광통역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관광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사/관광통역안내원/관광통역안내원시험/관광통역학원/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시험/관광통역안내사학원/관광통역안내원학원/관광통역자격증/관광통역안내사자격증/관광통역안내원자격증/통번역학원/통역학원추천/통역가이드/통역가이드학원/현대번역통역어학원/현대번역통역학원/현대번역통역어학원안내/현대번역통역어학원약도/현대번역통역어학원추천/현대번역통역어학원위치/번역사/번역가/번역사학원/번역사시험/번역사자격증/번역가시험/번역가학원/번역가자격증/번역자격증시험/번역자격증학원/번역학원추천/번역전문학원/번역학원/번역통역학원/번역자격증/영어번역학원/영어번역가/영어번역사/영어번역전문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사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영어번역자격증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시험/영어번역사자격증학원/영어번역사학원/영어번역시험/일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번역자격증/일어번역자격증/일어번역시험/일본어번역시험/일본어번역사/일본어번역가/일어번역사/일어번역가/일본어번역사자격증/일본어번역가자격증/일본어번역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시험/일본어번역사자격증학원/일본어번역사학원/중국어번역사/중국어번역가/중국어번역전문학원/중국어번역/중국어번역학원/중국어번역자격증/중국어번역시험/중국어번역사자격증/중국어번역가자격증/중국어번역사자격증학원/중국어번역사자격증시험/
관광통역학원,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시험,관광가이드자격증,관광가이드학원,관광통역가이드,관광통역안내사,통역학원추천,통역가이드,통역가이드학원,관광통역자격증,여행가이드,외국어학원,통역학원,통역시험,통역자격증,통역어학원,통역사학원,통역번역학원,관광통역사/관광통역사학원/통역학원/관광통역학원/통역전문학원/관광통역전문학원/영어통역학원/일어통역학원/일본어통역학원/중국어통역학원/관광통역사/관광통역사학원/통역학원/관광통역,영어가이드학원,영어통역학원,통번역학원,통역학원추천,영어통역,영어가이드,영어관광학원,영어통역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관광통역학원,일본어가이드,일어가이드,일어관광가이드,일어관광통역학원,일어통역가이드,일어통역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관광학원,여행가이드,일본어관광가이드,일본어관광통역학원,일본어가이드학원,일본어통역가이드,일본어통역가이드학원,일본어관광통역가이드학원가이드/로컬가이드/로컬가이드자격증/로컬가이드시험/일본현지가이드/일본관광가이드/가이드학원/관광가이드/일본어관광가이드학원/일본로컬가이드시험/일본로컬가이드자격증시험/일본로컬가이드/영어학원/영어전문학원/영어회화/영어회화학원/영어통역학원/영어번역학원/영어관광가이드/영어통역가이드/일본어학원/일본어전문학원/일본어회화/일본어회화학원/일본어통역학원/일본어번역학원/일본어관광가이드/일본어통역가이드,중국어가이드,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관광통역학원,여행가이드,외국어학원,중국어관광학원,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학원,중국어통역사,중국어관광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중국어통역,가이드자격증,중국어통역,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가이드,중국어통역학원,중국어가이드학원,중국가이드,중국어통역사,통역가이드,가이드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