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작, 번역자료) '97 2차 공통영역 번역 3급 문제
(1) 한국에서
한국어로 한국인에게 한국인이 적어도 40년이나 가르친 영문학은 영국이나 미국의 학문이 아니라 한국의 학문임에 틀림없다. 한국에서
가르쳐지고 있는 전기공학이나 정치학이나 도서관학과 마찬가지로 영문학도 한국의 학문이므로, 한국인이 한국인을 상대로 한국어로 그에
관하여 글을 쓰는 것이 마땅하다고 나는 믿고 있다. 원문에 대한 해설과 주석이 많이 붙지 않은 변역은 원문보다 더 까다로워지기
일쑤이므로, 차라리 원문을 읽는 것이 나을 때가 있다. 그러니까 번역은 소용이 적어진다는 말이 된다. 서양 사람들이 서양 독자를
상대로 서양말로 쓴 글은 언어만 바꾸어 놓는다고 해서 우리 것이 되지 않는다. ('97 2차 공통영역 번역 3급 문제)
English
literature of Korea must be regarded as of Korean Sciences because it
has been taught to Korean Language at least for forty years. As it is a
completely koreanized science like electro engineering politics and
library science, I believe it is quite natural for korean scholars to
write about it in korean language for the easy understanding of Korean
people. Translation without interpretation of footnotes on it is likely
to be hard to understand. So it is sometimes rather convenient to read
the source language text in itself. As a result translation seems less
useful. We cannot make the foreign words ours just by changing them
into Korean.
(2) 그 전도 유망한 학자가 연구 도중에 병이 들었다고 하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불운한 일이다.
1) 그 전도유망한 학자: the promising scholar; the scholar of great promise
2) 연구하던 도중에: before he could complete his studies
3) 불운한 일: a misfortune; unfortunate
→「아무리 생각해도 ~다」는 「실로 ~다」, 「정말로 ~다」와 같은식으로 처리해서 다음의 동종의 표현을 참고로 해서 영작하도록 한다.
· 우리와 동행할 수 없다는 것은 정말로 유감스러운 일입니다.
I am extremely sorry that you could not go with us.
· 네가 실패한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유감스럽다.
It is a thousand pities that you should have failed.
· 그 사람이 그런 경우를 만났다니, 정말로 안된 일이다.
Oh! What a pity it was that he had to go through such a bitter experience.
· 네가 그 기차를 놓치고 못 탄 것은 정말로 불운한 일이었다.
How very unfortunate you were to be late for the train.
ANS 1) It was really a misfortune to the promising scholar that he fell ill before he could complete his studies.
ANS 2) How unfortunate that hopeful scholar was to fall ill before completing his studies!
(3) 외국인이 보통 이상하게 느끼고 있는 것은, 한국 사람들은 거의 반드시라고 말해도 좋을 만큼 집단으로 해외 여행을 하고, 종종 작은 깃발을 든 인솔자가 선두에 있다는 것이다.
1) 외국인이 이상하게 느끼는 것: what foreigners feel strange; what strikes foreign people as strange
2) 집단으로 해외 여행을 가다: travel abroad in a group
3) 선두에 있다: head (or lead) a procession; take the lead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은 「거의 반드시」와 같은 표현이다.
· 그는 아침 식사 전에는 거의 반드시라고 말해도 좋을 만큼 산책을 한다.
Generally he takes a walk before breakfast.
· 수상은 거의 언제나라고 해도 좋을 만큼 바쁘다.
The prime minister is busy almost all the time.
· 우리나라의 거의 어느 지역을 가더라도 축제를 볼 수 있다.
Festivals are found almost everywhere in our country.
· 긴 담화는 거의 반드시라고 해도 좋을 만큼 일종의 고문이다.
Nine cases out of ten long speeches are a form of torture.
ANS
1) What foreigners usually feel strange is that Korean people almost
always travel together abroad, led by a guide with a small flag.
ANS
2) What strikes foreign people as strange is that nine cases out of ten
Korean have a sightseeing tour abroad in a group, headed by a person
with a flag in his han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