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소식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③ 차별화 전략

현대천사 2008. 5. 2. 15:47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③ 차별화 전략
신문사 전북일보  등록일자 2008-05-01
인천·전남·부산·강원등 동북아 허브 내세우며 각축
경기도는 최근 '대중국 국가전략 복합특구' 조성계획을 내놓았다. 황해권(평택·당진)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중국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전진기지를 국가주도로 조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경기도는 이에앞서 대규모 서해안개발을 구상해왔다. 연간 1000만명의 관광객을 끌어들여 동북아 해양·관광·레저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다. 13억 인구의 중국과 가깝고 서울과 인천 등 수도권에 있다는 지리적 강점을 십분 살리겠다는 취지다.

이는 새만금사업과의 정면출동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새만금사업 또한 군산국제해양관광지를 중심으로 한 해양관광과 경제자유구역이 중심이 된 산업단지개발이 주요 컨셉이기 때문이다.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의 개발비전은 '동아시아의 미래형 신산업과 관광 레저산업의 허브'이다. 새만금 경쟁상대는 경기도뿐만이 아니다. 최근 급부상하는 중국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내 자치단체들이 죄다 동북아 전초기지를 내세우기 때문이다.

여기에 경제자유구역을 중심으로 해양개발사업이 펼쳐지면서 새만금지구와의 한판경쟁이 불가피하다. 실제로 인천(영종도를 동북아의 관광허브로)과 전남(서남해안을 21세기 동북아 관광·레저허브), 강원도(속초와 고성, 양양을 중심으로 동북아 관광거점), 제주도, 부산시 등이 죄다 동북아 허브를 내세우며 경쟁체제에 돌입했다. 또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과 인천경제자유구역에서는 카지노 유치작업이 펼쳐지고 있다.

아직 부지매립조차 마무리되지 못한 새만금사업은 이들 사업보다 늦게 출발하는 후발주자이다. 더군다나 지난해 연안권개발특별법이 제정, 새만금지구만의 특례조항도 사실상 없어 결코 유리하다고 볼 수 없다. 새만금만의, 새만금·군산경제자유구역만의 특혜가 없는 상황이어서 향후 이들 지역 개발사업과의 차별화전략이 요구된다는 것.

나아가 새만금지구를 세계적인 경제자유기지로 조성해나갈 독창적이고, 획기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 해당 전문가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도는 현재 새만금·군산경제자우구역에 미래형 신산업의 세부업종을 중심으로 1차산업(농업), 2차산업(제조), 3차산업(서비스)간 산업융항(복합 클러스터)을 통해 시너지효과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자동차 부품이나 기계, 신재생에너지 제조, 바이오식품 등을 연구하고, 생산하며, 유통까지 책임지면서 '금싸라기'로 만들겠다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