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통역안내사/관광통역안내사소식
(관광자원) "관광기념품 10개중 1~2개만 제주 것"
현대천사
2008. 5. 2. 12:20
(관광자원) | "관광기념품 10개중 1~2개만 제주 것" | ||||
신문사 | 한라일보 | 등록일자 | 2008-05-01 | ||
도내 관광기념품 관련 생산업체들이 영세성으로 시장환경 변화와 소비자 욕구변화 등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으며 도내에서 유통되는 관광기념품중 80~90%가 중국 등 해외나 다른 지방에서 생산된 상품들이어서 구매력을 떨어트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김형길 제주대학교 교수는 30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에서 도의회 문화관광위원회 신관홍 위원장 주최로 열린 '제주특별자치도 관광기념품 개발 및 육성조례 제정'을 위한 전문가 포럼에서 '제주특별자치도의 관광기념품 개발과 육성을 위한 조례제정의 필요성'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김 교수는 "도내 관광기념품 관련 생산업체는 4백여개이지만 대부분 종업원수가 5명이하로 영세하다"며 "이에따라 시장환경 변화와 소비자 욕구변화 등 급변하고 있는 시장동향에 관한 정보획득이 어려워 생산자 중심의 시스템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고 소비자의 욕구에 맞는 지속적인 신제품 개발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어 "도내 관광상품 유통업체 2백23개소(2005년)에서 유통되고 있는 상품의 80~90%가 중국 등 해외나 타지역에서 제조된 상품으로 우리나라의 어느 관광지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어 구매력을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같은 상황에도 불구하고 "2008년도 전국 각 시도별 관광기념품 및 공예품 공모전, 개발장려금, 전시교류전 등의 지원예산을 보면 경남이 14억5천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제주가 16개 시도 중 가장 적은 6천7백만원이였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도의 관광기념품 산업 지원 업무 분산으로 효율적인 정책추진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이에따라 "경쟁력 있는 제주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혁신상품을 중심으로 특화된 스트리트 조성 등 유통구조 혁신시스템 구축, 법규 정비 등이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